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1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이재용 삼성그룹 회장·최태원 SK그룹 회장·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구광모 LG그룹 회장 등과 함께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첫 회의를 개최했다.
미국은 오는 3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가하는 등 상호관세를 도입한다. 한 권한대행은 지난달 25일 대외적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경제부총리가 주재해온 대외경제현안간담회를 자신이 주재하는 경제안보전략TF로 격상시키겠다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통상위기 상황인 만큼 정부가 기업들에 특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한 권한대행은 “어려움에 부닥칠 가능성이 높은 자동차 산업을 포함해 각 산업에서 정부가 할 수 있는 지원 조치를 긴급하게 마련하겠다”며 “회장님들이 대표하는 각 분야의 문제를 정부 차원에서 조금이라도 보완·강화하는 쪽으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부와 기업이 머리를 맞대고 미국의 통상압력을 비롯한 위기대응에 지혜를 모아야한다고 강조했다.
한 권한대행은 “3일 미국의 상호 관세가 도입되면 우리의 충격을 줄이기 위한 정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리라 생각한다”며 “이것은 민관 협력 체계를 통해 우리가 원팀으로서 도전을 극복하는 그런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그는 이어 “이런 위기는 결코 정부나 개별 기업 혼자의 힘으로 극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국민과 기업, 정부가 같이 뛰어야만 지금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당부했다.
4대 그룹 회장들은 이번 통상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정부와 기업이 하나로 힘을 모아야 한다는 취지에 적극 공감하면서 기업도 국익 차원에서 최대한 협조하겠다는 의지를 한 권한대행에게 전했다.
또한 정부에 미국의 반도체과학법 및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축소 우려, 관세 부과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기업들을 위한 세제지원 등 적극적인 지원책을 조속히 마련하고 미국과의 협상에 총력을 다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날 회의에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 안덕근 산업부 장관,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등도 참석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