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농심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일부 제품의 국내 출고 가격을 인상한 점이 반영됐다.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7일 농심 목표주가를 기존 45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높여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6일 농심 주가는 38만9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농심은 오는 17일부터 신라면 등 라면과 새우깡을 포함한 스낵류 17개 브랜드 제품의 국내 출고가를 평균 7.2% 인상한다. 2023년 7월 신라면과 새우깡 가격을 인하했던 점을 고려하면 2022년 9월 이후 2년6개월 만의 가격인상이다.
농심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3조7372억 원, 영업이익 2119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3년보다 매출은 8.7%, 영업이익은 29.9% 증가하는 것이다.
김태현 연구원은 “가격 인상분을 반영해 농심의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보다 14.7% 상향했다”며 “시장 내 기존 재고를 고려하면 2분기부터 가격 인상 효과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가격인상 적용 제품 매출이 약 71%이고, 유럽과 동남아시아 등 수출 제품은 제외된 점을 고려하면 이번 가격 인상으로 올해 국내 매출이 약 780억 원, 영업이익은 270억 원 증가하는 효과를 볼 것”이라고 전망했다.
농심 해외 법인도 판매가격을 인상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는 “미국을 비롯한 관세 정책 변화에 따라 앞으로 미국과 중국 등 해외 법인의 제품 가격인상 가능성도 있다”며 “중국 법인은 일부 원재료를 미국에서 조달하고 있고, 미국 법인에서도 캐나다 등으로 제품을 수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허원석 기자
일부 제품의 국내 출고 가격을 인상한 점이 반영됐다.

▲ 일부 제품 가격 인상 결정에 따라 17일 농심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7일 농심 목표주가를 기존 45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높여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6일 농심 주가는 38만9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농심은 오는 17일부터 신라면 등 라면과 새우깡을 포함한 스낵류 17개 브랜드 제품의 국내 출고가를 평균 7.2% 인상한다. 2023년 7월 신라면과 새우깡 가격을 인하했던 점을 고려하면 2022년 9월 이후 2년6개월 만의 가격인상이다.
농심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3조7372억 원, 영업이익 2119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3년보다 매출은 8.7%, 영업이익은 29.9% 증가하는 것이다.
김태현 연구원은 “가격 인상분을 반영해 농심의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보다 14.7% 상향했다”며 “시장 내 기존 재고를 고려하면 2분기부터 가격 인상 효과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가격인상 적용 제품 매출이 약 71%이고, 유럽과 동남아시아 등 수출 제품은 제외된 점을 고려하면 이번 가격 인상으로 올해 국내 매출이 약 780억 원, 영업이익은 270억 원 증가하는 효과를 볼 것”이라고 전망했다.
농심 해외 법인도 판매가격을 인상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는 “미국을 비롯한 관세 정책 변화에 따라 앞으로 미국과 중국 등 해외 법인의 제품 가격인상 가능성도 있다”며 “중국 법인은 일부 원재료를 미국에서 조달하고 있고, 미국 법인에서도 캐나다 등으로 제품을 수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허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