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트럼프 정부가 바이든 행정부에서 시행한 대중국 반도체 규제의 수위를 더 높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 SMIC 반도체 공장 사진.
엔비디아 반도체 수출 규제를 강화하거나 중국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 SMIC를 직접 압박하는 전략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는 25일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트럼프 정부가 바이든 정부에서 시행된 대중국 반도체 규제를 한층 강력한 버전으로 내놓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정부 관계자들은 최근 일본 및 네덜란드 정부 관계자들과 만나 중국에 수출하는 반도체 장비 관련한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과 네덜란드가 반도체 장비 주요 수출국가인 만큼 중국에 공급 규제를 강화하거나 이미 판매한 장비의 사후관리를 제한하기 위한 목적이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정부가 특정 중국 기업들을 직접적으로 겨냥하는 형태의 반도체 규제도 검토중이라고 보도했다.
엔비디아 반도체의 중국 수출 물량을 제한하는 새 제재조치도 논의되고 있다.
현재 엔비디아는 미국 규제 영향으로 중국에 비교적 낮은 성능의 인공지능 반도체를 판매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통제가 한층 더 강화될 수 있는 셈이다.
블룸버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바이든 정부가 시작한 대중국 반도체 규제를 이어가겠다는 계획을 두고 있다”며 “이는 결국 중국의 인공지능 및 군사 기술 발전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바라봤다.
트럼프 정부는 바이든 정부가 고려하고 있었지만 실행에 옮기지 않았던 제재 조치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메모리반도체 제조사인 창신메모리(CXMT)와 파운드리 기업 SMIC를 직접적으로 겨냥하는 규제 조치가 포함되어 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정부 관계자들이 일정 성능 기준을 뛰어넘는 반도체를 수출할 때 반드시 허가를 받도록 하는 정책을 도입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결국 바이든 정부보다 훨씬 엄격한 수준의 대중국 반도체 규제 도입이 불가피해질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정부는 현재 다양한 규제 방안을 정비하고 검토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