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오!정말] 민주당 박지원 "차라리 국힘 당사를 서울구치소로 옮겨라"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24년 9월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정치 분야 대정부 질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오!정말'은 비즈니스포스트가 치권에서 나온 주목할 만한 을 정리한 기사다. 다음은 3일 '오!정말'이다.

새 국민의힘 당사는 서울구치소
"차라리 국민의힘 당사를 서울구치소로 옮겨라. 집권여당 1·2인자라면 현 상황에서 내란수괴와의 인간적 관계를 끊고 사죄하는 자세로 국가와 국민을 위한 선공후사가 우선해야 한다. 권영세 비대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의 윤석열 면회는 '인간적 차원의 면회'가 아니다. 당과 대통령이 만나 현안에 대한 총체적 대응을 위한 '쌍권총 회동'이다. 두 대표는 대선을 위해, 윤석열은 탄핵 기각 및 형사 재판 무죄를 위해 집토끼를 잡고 있어야 할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것이다."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등 여당지도부가 이날 서울구치소에 윤석열 대통령 면회를 간 것을 비판하며)

헌법재판관이 뭐길래~
"헌법재판소의 이 같은 결정에도 불구하고 마은혁 후보자를 즉시 임명하지 않는다면 이는 최상목 권한대행도 내란 공범이라는 결정적 확증이다. 앞서 최 권한대행은 헌법상 의무인 국회 추천 몫 헌법재판관 임명을 선택적으로 거부했다. 이 행위만으로도 탄핵 사유가 된다. 내란 공범으로서 처벌을 피하려는 속셈이 아니라면 도저히 있을 수 없는 행태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향해 이날 헌법재판소가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을 보류한 것이 잘못됐다는 결정을 내릴 경우 즉시 마 후보자를 임명해야 한다고 촉구하며) 

"마은혁 후보자까지 헌법재판관이 되면 헌법재판관 9명 가운데 4명이 우리법연구회 출신이다. 많은 국민은 헌재가 민주당과 한편이 돼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밀어붙이는 것은 아닌지 의심한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겨냥해 정치적 편향성의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며)

"결국 문재인 정권, 민주당 정권이 이념 성향을 같이하고, 자기편을 들 수 있는 사람들을 헌법재판관에 추천·임명했다는 의미다. 그래서 헌재의 공정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편향성을 지적하는 것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겨냥해)

패배 인정해야 vs 총구는 밖으로
"패배에 대한 정치적 책임은 문재인 정부에 떠넘겨졌고 지금까지도 문재인 정부 탓을 하고 있다. 지금이라도 지난 대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성찰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재명 후보가 부족했고 당의 전략이 부재했음을 온전히 받아들여야 비로소 이기는 길이 보일 것이다. 민주당이 국민의 선택을 받아야 윤석열 심판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번에는 우리가 더 절실하기를 바란다."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지난 대선 패배를 두고 이재명 후보의 부족과 당 전략의 부재 때문이라 주장하며)

"우리는 반드시 승리할 것이다. 그리고 그 끝에 대한민국의 융성이 기다리고 있다고 믿는다. 그날까지 작은 차이로 싸우는 일은 멈추고 총구는 밖으로 향했으면 한다. 저 또한 여러 지적을 겸허히 수용하며 함께 이기는 길을 찾기 위해 노력하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내부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보다 민생, 경제, 안보를 살리고 민주주의를 살리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이제는 민생을 돌볼 때
"지난 2개월간 민주주의가 무너지는 위기감 속에 민생과 미래 의제에 대한 논의가 사실상 멈췄다. 그 시간을 만회하는 2월 임시국회가 돼야 한다. 추경 시기와 구체적 내용을 두고 여야가 이견이 있지만, 우선 추경 규모에 합의하고 구체적 내용은 머리를 맞대고 의견을 좁혀나가기를 제안한다. 민생 입법에 속도를 내야 한다. 반도체특별법과 에너지 3법 등 미래 먹거리 산업 지원법안 협상을 신속하게 마무리 지어야 한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2월 임시국회 개회식 개회사에서 조기 추가경정예산을 둘러싼 여야 합의를 촉구하며)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