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각)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 도착해 기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는 소비자 구매력 약화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져 미국 내 공급망 연결도가 높은 북미 자동차 산업 전체 경쟁력까지 끌어내릴 수 있다는 분석이 함께 제시됐다. 부메랑이 돼 돌아온다는 것이다.
3일 블룸버그는 시장 조하업체 울프리서치 보고서를 인용해 “관세 여파로 미국 내 신차 가격이 차량당 3천 달러(약 440만 원) 상승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 보편 관세를 각각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1일 최종 서명했다. 이는 4일부터 효력이 발효된다.
해당 국가에서 미국으로 들여오는 차량 또는 부품에 관세가 적용되면 신차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많았는데 구체적 수치가 제시된 것이다.
컨설팅업체 알릭스파트너는 “미국에서 매년 판매되는 1600만여 대 차량 가운데 4분의 1 및 그 구성품이 관세 영향권에 든다”며 “전체 산업에 600억 달러 비용이 추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북미 자동차 산업 공급망이 국경을 다수 넘나들도록 복잡하게 얽혀 있다는 점도 관세 여파를 키우는 요소로 꼽혔다.
캐나다와 멕시코도 미국에 보복 조치를 예고해 한 차량 또는 차량 부품에 관세가 중복해서 부과될 수 있다는 점을 짚은 것으로 풀이된다.
매체는 미국에서 수입한 철강으로 차량용 금형을 제조해 다시 미국으로 수출하는 한 캐나다 공급업체 사례가 소개됐다.
테슬라 공급업체인 라발 툴의 조나단 아조파르디 최고경영자(CEO)는 “관세 부과로 경쟁력이 악화돼 사업을 접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를 포함한 여러 제조업 공급망을 미국에 유치하기 위해 취임 직후 관세 카드를 꺼내 들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 정책 취지와 달리 미국 내 소비자 물가 상승 및 자동차 산업 가격 경쟁력 악화라는 역효과만 부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 셈이다.
트럼프 관세에 또 다른 명분인 중국 견제 목표도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이 캐나다나 멕시코를 우회해 미국으로 들어온다고 주장하는데 이러한 비중이 낮아 실제 효과가 미미하다는 것이다.
프란시스코 곤잘레스 멕시코 자동차부품산업협회(INA) 협회장은 “멕시코에서 판매되는 자동차 부품 가운데 중국산은 3% 미만”이라며 “중국 제품이 멕시코를 거쳐 미국으로 들어간다는 우려는 과장됐다”고 전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