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주 미래에셋금융그룹 겸 미래에셋대우 회장이 미래에셋대우의 자회사인 미국 뉴욕법인을 기반으로 해외 투자금융(IB)시장의 문을 두드릴 준비를 하고 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래에셋대우 뉴욕법인은 이르면 내년 1분기 안에 현지에서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를 제공할 준비를 하고 있다.
![]() |
||
▲ 박현주 미래에셋금융그룹 겸 미래에셋대우 회장. |
미래에셋대우 뉴욕법인은 9월에 미국 금융산업규제기구(FINRA)에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 업무를 허가해 달라고 신청했는데 결과가 내년 초에 나온다. 뉴욕법인이 허가를 받는다면 국내 증권사 가운데 처음으로 해외 현지투자자에게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박 회장은 미래에셋대우 뉴욕법인에서 실행할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 관련 사안을 직접 챙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4월에 “통합 증권사의 출범 이전에 뉴욕법인을 비롯한 미래에셋대우 해외법인에 증자부터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 뒤 미래에셋대우가 뉴욕법인에 1억 달러를 증자했고 최근에도 1억5천만 달러를 추가로 증자하기로 결정했다.
미래에셋대우 관계자는 “뉴욕법인에서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를 시작하기 전에 증자 등으로 자기자본을 늘려 안정적인 투자기반을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에 관련된 인력 15명가량도 뉴욕법인에 선제적으로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 전문가인 김준영 전 미래에셋증권 이사를 뉴욕법인장으로 임명하기도 했다.
박 회장이 앞으로 미래에셋대우 뉴욕법인을 통해 대체투자나 자기자본(PI) 투자 등 다른 투자금융사업도 진행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박 회장은 대우증권(현 미래에셋대우) 인수에 성공한 뒤 해외사업을 확대해 글로벌 투자금융회사로 발돋움하겠다고 여러차례 밝혀왔다.
4월 미래에셋대우 경영전략회의에서 “미래에셋대우는 전 세계 자산시장에서 2%밖에 안 되는 국내자산 대신 나머지 98%의 시장에서 새로운 투자기회를 적극 찾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