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도널드 존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이끌 미국 행정부의 통상정책에 대비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차기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민관합동협의회 등을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산업부, 트럼프시대 통상정책 대응책 마련 부심  
▲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산업부는 통상산업포럼 소속인 대미통상분과회의를 ‘대미통상협의회’로 확대하기로 했다.

산업부 장관과 무역협회장이 대미통상협의회의 공동위원장을 맡으며 업종별 주요 협회, 무역 지원기관, 주요 연구기관, 통상전문가 등으로 협의회가 구성된다.

대미통상협의회는 대미통상대책을 마련하고 양국이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뿐 아니라 미국정부와 의회, 업계와 소통채널을 구축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대미통상협의회 산하에는 산업부 2차관이 이끄는 ‘대미통상 실무작업반’도 가동된다. 수입규제 등 대미수출에 관한 애로사항과 현안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우리나라 기업이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다.

산업부는 대미통상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대미통상협의회 등을 지원하겠다는 방침도 세웠다. 트럼프정부의 출범이 우리나라 경제와 통상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연구용역도 실시하는 등 객관적인 정보도 수집하기로 했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한국과 미국의 경제협력과 번영의 플랫폼으로 잘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미국에 적극적으로 설명할 것”이라며 “앞으로 미국 새 정부의 통상정책 동향을 잘 살피고 기존 대응체계를 강화하는 등 민관이 함께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대미통상협의회 첫 번째 회의는 23일 열리며 실무작업반도 14일부터 활동을 시작한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