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정유사들의 올해 누적 석유제품 수출량이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다.
대한석유협회(KPA)는 2024년 3분기 누적으로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HD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의 석유제품 수출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5% 증가한 3억7349만 배럴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2018년 같은 기간 3억6600만 배럴 이후 6년 만에 달성한 최대 수치다.
3분기 석유제품 수출량은 2분기보다 13.8% 늘었다.
석유제품 수출 금액은 3분기 누적 기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4% 증가한 351억 5천만 달러(약 48조 원)로 집계됐다.
한국의 국가 주요수출품목 가운데 반도체, 자동차에 이어 3위에 해당한다.
최다 수출품목은 경유로 전체 수출량의 41.1%를 차지했다. 휘발유 22.6%, 항공유 18.3%, 나프타 8.4% 등이 뒤를 이었다.
대한석유협회는 “역대 최대 수출량 기록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석유수요 둔화 가운데에서도 호주, 일본 등 수요증가 요인이 있는 국가에 수출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호주는 최근 3년 동안 최대 수출 상대국이었다.
호주에서는 정제설비가 급감한 가운데 에너지 안보 향상을 위해 2021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7억8천만 리터 규모의 신규 경유 저장시설을 확충했다.
또 경유 의무비축일수를 기존 20일에서 28일로 상향 조정해 경유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올해 국내 정유사의 호주 경유 수출량은 10% 이상 증가했고 호주 수출량 가운데 경유의 비중은 67%에 달했다.
수출 상대국 3위를 기록한 일본에서는 휘발유 수출량이 45% 증가했다.
일본은 내연기관차 생산 감소 및 하이브리드차 선호에 따른 휘발유 수요 하락으로 휘발유 생산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올해 여름 정제설비 정기보수 등으로 가동률이 낮았다.
아울러 올해 ‘엔저’ 현상으로 관광객이 사상 최대 규모로 몰리며 부족해진 휘발유를 수입산으로 대체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올해 일본 휘발유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휘발유의 점유율은 81%에 달했다.
다만 정유사들의 수출증가에도 불구하고 채산성은 감소했다.
글로벌 정제마진은 배럴당 9.3달러로 지난해 1~3분기보다 35% 가량 감소했다. 특히 3분기만 놓고보면 1년 사이에 72% 하락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국내 석유산업은 내수보다 수출비중이 높은 수출산업으로 신규 수출국 개척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수출확대로 국가경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대한석유협회(KPA)는 2024년 3분기 누적으로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HD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의 석유제품 수출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5% 증가한 3억7349만 배럴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 국내 정유업계가 올해들어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사상 최대 수출량을 기록했다.
이는 2018년 같은 기간 3억6600만 배럴 이후 6년 만에 달성한 최대 수치다.
3분기 석유제품 수출량은 2분기보다 13.8% 늘었다.
석유제품 수출 금액은 3분기 누적 기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4% 증가한 351억 5천만 달러(약 48조 원)로 집계됐다.
한국의 국가 주요수출품목 가운데 반도체, 자동차에 이어 3위에 해당한다.
최다 수출품목은 경유로 전체 수출량의 41.1%를 차지했다. 휘발유 22.6%, 항공유 18.3%, 나프타 8.4% 등이 뒤를 이었다.
대한석유협회는 “역대 최대 수출량 기록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석유수요 둔화 가운데에서도 호주, 일본 등 수요증가 요인이 있는 국가에 수출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호주는 최근 3년 동안 최대 수출 상대국이었다.
호주에서는 정제설비가 급감한 가운데 에너지 안보 향상을 위해 2021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7억8천만 리터 규모의 신규 경유 저장시설을 확충했다.
또 경유 의무비축일수를 기존 20일에서 28일로 상향 조정해 경유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올해 국내 정유사의 호주 경유 수출량은 10% 이상 증가했고 호주 수출량 가운데 경유의 비중은 67%에 달했다.
수출 상대국 3위를 기록한 일본에서는 휘발유 수출량이 45% 증가했다.
일본은 내연기관차 생산 감소 및 하이브리드차 선호에 따른 휘발유 수요 하락으로 휘발유 생산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올해 여름 정제설비 정기보수 등으로 가동률이 낮았다.
아울러 올해 ‘엔저’ 현상으로 관광객이 사상 최대 규모로 몰리며 부족해진 휘발유를 수입산으로 대체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올해 일본 휘발유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휘발유의 점유율은 81%에 달했다.
다만 정유사들의 수출증가에도 불구하고 채산성은 감소했다.
글로벌 정제마진은 배럴당 9.3달러로 지난해 1~3분기보다 35% 가량 감소했다. 특히 3분기만 놓고보면 1년 사이에 72% 하락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국내 석유산업은 내수보다 수출비중이 높은 수출산업으로 신규 수출국 개척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수출확대로 국가경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