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전기차 배터리 ‘8대 유망 서비스’ 육성 위해 정부와 산업계 손잡다

▲ 1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3개 부처와 LG에너지솔루션, 현대자동차, SK온 등 전기차 배터리 관련 기업들이 참여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 간담회’가 열렸다. 앞 줄 왼쪽에서 네 번째부터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백원국 국토교통부 제2차관, 임상준 환경부 차관.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정부가 산업계와 손을 잡고 전기차 8대 배터리 유망 서비스를 육성한다.

1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3개 부처와 LG에너지솔루션, 현대자동차, SK온 등 전기차 배터리 관련 기업들이 참여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 간담회’가 열렸다.

이번 간담회엔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백원국 국토교통부 제2차관, 임상준 환경부 차관 등과 배터리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정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한 민관 공동 협의체'를 발족한다고 밝혔다.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는 배터리의 충전, 정비, 교체, 재제조, 재사용, 재활용 등 배터리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각종 서비스를 말한다.

아직 관련 산업이 활성화 되지 않았지만,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라 배터리 서비스는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날 정부는 업계가 직접 선정한 ‘8대 유망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모델’을 공개했다.

8대 유망 모델은 △전기차 배터리 성능 진단 △배터리 구독 및 교체 △탄소 크레딧 거래 △재제조 배터리 진단 및 평가 △이동형 충전 △전력거래 플랫폼 △배터리 회수·운송·보관 △금융 등이다.

정부는 민관 공동 협의체를 통해 8대 유망 서비스를 비롯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강경성 산업부 차관은 “배터리 서비스 산업이 최근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어려움을 겪는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의 새로운 성장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유관 부처와 함께 관련 제도 정비 등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