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가 올해 임금협상에서 노조파업으로 인한 사상 최대의 생산차질을 입은 데 대한 문책성 인사를 단행할지 관심이 쏠린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사가 올해 임금협상을 타결했지만 노조파업으로 인해 3조 원이라는 막대한 생산차질이 빚어지면서 이를 놓고 책임론이 일고 있다.
|
|
|
▲ 윤갑한 현대차 사장. |
특히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이 수시로 현안별 인사조치에 나서왔던 만큼 이번 노조파업의 책임과 관련한 문책성 인사를 실시할지 주목된다.
정 회장은 최근 세타2 엔진결함 보상과 관련해 내수차별 논란이 크게 일자 정기인사가 2개월여 남은 시점에서 국내영업본부장을 맡았던 곽진 부사장을 고문으로 물러나게 했다.
정 회장은 또 이에 앞서 중국판매가 회복세를 보이자 중국법인 두 곳의 수장을 모두 교체하는 결단을 내리기도 했다.
올해 임금협상 동안 노사갈등이 심화한 데는 박유기 노조위원장 등 노조 지도부가 강경성향이었던 영향도 컸다.
하지만 현대차 노무담당인 윤 사장의 전략적 오판도 올해 노사갈등이 장기화하는 데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현대차는 지난 8월 노조와 1차 잠정합의안을 마련하면서 임금피크제 확대 요구를 전향적으로 철회했음에도 1차 잠정합의안이 노조 찬반투표에서 부결되고 이후 노조파업 수위가 한층 높아졌다.
그전까지 윤갑한 현대차 사장은 “임금피크제 확대 없이 올해 협상도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현대차가 올해 임금협상을 마무리 지을 수 있었던 결정적인 요인으로 긴급조정권이 꼽힌다. 정부는 9월 말부터 긴급조정권 발동을 통해 노조파업을 막겠다는 의중을 내비쳤다.
노조는 10월부터 파업을 중단했다. 2차 잠정합의안이 찬반투표에서 통과된 데도 노조에 긴급조정권 발동 부담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긴급조정권이 발동되지 않고 노사합의가 이뤄지긴 했으나 현대차가 올해 임금협상을 타결하는 데 정부의 힘을 적지 않게 빌린 만큼 향후 노사협상에서 주도권이 약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현대차 노조는 14일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2차 잠정합의안을 통과시켰다. 이로써 현대차의 올해 임금협상은 5월17일 노사 상견례 이후 150여 일만에 일단락됐다.
지난해 임금협상이 타결되기까지 180여 일이라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노조가 새 집행부 선거에 돌입하면서 2개월 정도 임금협상이 중단됐고 노사가 임금피크제와 통상임금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한 탓이다.
현대차가 올해 임금협상을 지난해보다 한 달 정도 조기에 마무리 지었지만 현대차 노사갈등은 올해 더 심화한 양상을 보였다.
지난해 임금협상 중 노조파업 등으로 인한 생산차질은 2687억 원에 이를 것으로 현대차는 추산했다. 올해는 3조1천억여 원으로 역대 최고 수준이었다.
현대차가 지역 및 국가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을 감안하면 올해 임금협상 동안 노조파업으로 인한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 따르면 올해 현대차 노조파업으로 인한 1차 협력회사의 피해는 1조4천억 원으로 추산된다. 2, 3차 협력회사의 피해까지 감안하면 4조 원에 이를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임금협상이 타결됐지만 임금피크제와 통상임금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라며 “최근 몇년간 실적악화에도 불구하고 임금부담은 점차 늘고 있어 현대차 노사갈등이 깊어지고 있는 양상”이라고 말했다.
윤 사장은 2013년 3월 부사장에서 사장으로 승진하면서 전임자 김억조 전 부회장을 대신해 현대차 노무업무를 총괄하게 됐다.
당시 김억조 전 부회장은 고문으로 위촉되면서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는데 비정규직 정규직화와 주간연속 2교대제 시행을 놓고 노조와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면서 사실상 경질된 것으로 풀이됐다.
김 전 부회장이 물러나면서 윤 사장은 현대차그룹 노무총괄담당 윤여철 부회장의 유일한 후임자로 꼽히고 있다. 윤 사장은 정몽구 회장, 이원희 사장과 함께 현대차 각자대표를 맡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