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이 현대상선에서 한진해운 자산을 인수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김 장관은 1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해양수산부 종합감사에서 한진해운 자산매각과 관련해 “미주와 아시아를 포함한 일부 노선 영업망, 일부 선박과 터미널 등 자산을 포괄하는 하나의 작은 선사에 대한 매각이라고 보는 것이 정확하다”며 “지금 하는 일은 회생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 |
||
▲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 |
한진해운의 영업양수도 매각주간사인 삼일회계법인은 이날 한진해운 미주노선의 유무형 자산 관련 매각 공고를 냈다.
매각은 공개경쟁입찰방식으로 진행되며 구체적인 매각대상은 인수의향서 및 비밀유지확약서를 접수한 기업에만 공개된다.
정부는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절차 개시에 따른 물류대란을 해소하기 위해 선박의 하역작업을 마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하역자금이 부족해 정부의 대책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김 장관은 “하역비용은 2천억 원 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한진그룹과 산업은행의 지원으로 마련한 1600억 원에 한진해운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시재금을 더하면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10월 중 발표하는 ‘조선 및 해운업의 산업구조 개편과 경쟁력 강화 방안’에는 현대상선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 관련 내용이 다수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한진해운이 해운동맹에서 이미 제외돼 회생하더라도 규모축소와 경쟁력 약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김 장관은 보고 있기 때문이다.
김 장관은 “양질의 국적선사를 키우기 위해 현대상선을 주요 유력선사로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됐다”며 “가변적이긴 하나 법정관리 진행상황에 따라 한진해운에도 도움이 될 내용이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