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 서초구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형마트 영업시간 제한을 완화했지만 대형마트 새벽배송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이뤄지려면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완화된 것만으로 새벽배송에 나서기에는 시장상황과 수익성, 효율성 등 따져봐야 할 것들이 많아서다.
 
대형마트 서울 서초구 영업시간 완화에도 시큰둥, "새벽배송 경쟁 골든타임 지났다"

▲ 대형마트들이 새벽배송 서비스를 다시 시작할지에 대해서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28일 유통업계에서는 대형마트 영업시간 제한 완화를 환영하는 의견과 함께 너무 늦었다는 아쉬움의 목소리도 나온다.

서초구는 대형마트 및 준대규모점포 영업제한 시간을 기존 오전 0~8시(8시간)에서 오전 2~3시(1시간)로 변경하는 행정예고를 시행했다. 7월부터는 서초구에서 영업 중인 대형마트들의 영업제한 시간이 바뀐다.

서초구에 있는 대형마트는 이마트 양재점, 롯데마트 서초점, 킴스클럽 강남점, 코스트코 양재점 등 모두 4곳이다. 

일각에서는 대형마트들이 새벽에도 영업을 할 수 있다는 이유로 곧바로 새벽배송이 시작될 것처럼 얘기하지만 생각처럼 쉬운 문제가 아닐 것으로 보인다.

대형마트들이 새벽배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걸림돌은 영업시간 제한이었던 것은 맞다.

유통산업발전법 제12조의2는 지방자치단체장이 오전 0시부터 10시까지 범위에서 영업시간을 제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법제처가 이 시간대에 창고에 있는 물건을 온라인 주문 고객에게 배송하는 행위도 영업이라는 유권 해석을 내리면서 대형마트들은 새벽배송을 할 수 없게 됐다.

영업시간 제한 규정은 2012년 1월에 새로 생겼다. 벌써 10년도 넘은 규정인 것이다.

대형마트들이 영업시간 규제로 새벽배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동안 새벽배송 시장 무게추는 쿠팡, 컬리 등 이커머스쪽으로 기울었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새벽배송하면 떠오르는 회사이 어딘지 생각해보면 영업시간 제한이 전국적으로 풀린다고 하더라도 대형마트들이 새벽배송 시장에 다시 뛰어들지 의문인 것은 사실이다”며 “소비자들이 새벽배송을 시키기 위해 선택하는 회사들이 명확한 상황에서 다시 고객들을 끌어오는 것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이커머스들이 새벽배송 시장을 선점한 상황에서 대형마트가 과연 수익을 낼 수 있을지가 고민이라는 얘기다.
 
대형마트 서울 서초구 영업시간 완화에도 시큰둥, "새벽배송 경쟁 골든타임 지났다"

▲ 롯데마트는 2022년 4월 새벽배송 시장에서 철수했다. 사진은 롯데마트 서초점.


롯데온은 2022년 4월 새벽배송 시장에서 철수했고 이마트는 SSG닷컴을 통해 서울, 인천 등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만 새벽배송 서비스를 하고 있다. SSG닷컴은 서초구에도 새벽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형마트들이 새벽배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배송차량부터 배송기사, 패킹센터 등 신경써야 할 것들이 많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새벽배송 차량 1대당 40건 정도를 처리해야 손익분기점 맞출 수 있다. 쿠팡과 컬리가 시장을 선점한 상황에서 손익분기점을 달성할 수 있을지도 확실하지 않다.

새벽배송 기사들에게는 주간배송 기사들보다 더 많은 인건비가 투입된다는 것을 생각하면 오히려 영업손실을 볼 수도 있는 사업이 된 것이다.

최근 대형마트들의 실적이 좋지 않은 점도 새벽배송 서비스 재개에 있어서 걸림돌 될 수 있다. 새벽배송 인프라 구축을 위한 투자에 선뜻 나서지 못할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새벽배송 서비스가 처음 시장에 등장했을 때는 획기적이었지만 현재도 그만큼의 파급력을 가진 것 같지는 않다”며 “새벽배송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가 예전보다 못하다고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형마트 관계자들은 영업시간 제한 완화보다는 의무휴업일 폐지가 더 중요한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 대형마트들은 공휴일에 하루 더 영업을 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 매출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유통산업발전법이 만들어질 당시만 해도 소상공인과의 상생 등을 이유로 들었지만 온라인 시장에 거대 사업자들이 등장하면서 오프라인 대형마트들에게만 불리한 족쇄가 됐다는 것이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온라인 시장에만 유리한 법을 없애달라는 것이 대형마트들의 입장”이라며 “영업시간 제한 완화 움직임이 시작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고 이번 일을 계기로 불합리한 규제에 대한 논의가 좀 더 활성화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말했다. 윤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