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케이뱅크가 지난해 순이익 128억 원을 냈다.
케이뱅크는 2023년 연간 순이익 128억 원을 거뒀다고 29일 밝혔다. 2022년보다 84.6% 줄었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충당금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적립하면서 순이익이 줄었다”며 “다만 고객과 여수신 잔액, 충당급 적립 전 이익 등 핵심 지표는 성장세를 지속했다”고 말했다.
케이뱅크는 2023년 충당금으로 2927억 원을 적립했다. 2022년(1361억 원)보다 1566억 원 늘었다. 경기변동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조치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충당금을 제외한 이익은 3134억 원으로 전년(2318억 원)보다 35.2% 증가했다.
2023년 말 가입자 수는 953만 명으로 1년 사이 133만 명 늘었다.
2023년 말 수신잔액은 19조7천억 원, 여신잔액은 13조8400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보다 각각 30.6%, 28.4% 늘었다.
여수신의 안정적 성장에 2023년 이자이익은 4504억 원을 보였다. 2022년(3852억 원)보다 652억 원 증가했다. 비이자이익은 338억 원으로 전년(65억 원)과 비교해 5배 넘게 증가했다.
지난해 케이뱅크의 순이자마진(NIM)은 2.35%, 연체율은 0.96%를 보였다. BIS(국제결제은행) 총자본비율은 13.2%였다.
케이뱅크는 올해 △생활 속 케이뱅크 △혁신투자 허브 △기술선도 뱅크 등 주요 경영목표에 매진해 성장세를 지속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최우형 케이뱅크 행장은 “케이뱅크는 다양한 고객혜택과 금리강점을 바탕으로 올해 더욱 빠르게 성장해 생활 속의 케이뱅크, No1. 인터넷은행이 되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
케이뱅크는 2023년 연간 순이익 128억 원을 거뒀다고 29일 밝혔다. 2022년보다 84.6% 줄었다.

▲ 케이뱅크가 2023년 순이익 128억 원을 냈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충당금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적립하면서 순이익이 줄었다”며 “다만 고객과 여수신 잔액, 충당급 적립 전 이익 등 핵심 지표는 성장세를 지속했다”고 말했다.
케이뱅크는 2023년 충당금으로 2927억 원을 적립했다. 2022년(1361억 원)보다 1566억 원 늘었다. 경기변동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조치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충당금을 제외한 이익은 3134억 원으로 전년(2318억 원)보다 35.2% 증가했다.
2023년 말 가입자 수는 953만 명으로 1년 사이 133만 명 늘었다.
2023년 말 수신잔액은 19조7천억 원, 여신잔액은 13조8400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보다 각각 30.6%, 28.4% 늘었다.
여수신의 안정적 성장에 2023년 이자이익은 4504억 원을 보였다. 2022년(3852억 원)보다 652억 원 증가했다. 비이자이익은 338억 원으로 전년(65억 원)과 비교해 5배 넘게 증가했다.
지난해 케이뱅크의 순이자마진(NIM)은 2.35%, 연체율은 0.96%를 보였다. BIS(국제결제은행) 총자본비율은 13.2%였다.
케이뱅크는 올해 △생활 속 케이뱅크 △혁신투자 허브 △기술선도 뱅크 등 주요 경영목표에 매진해 성장세를 지속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최우형 케이뱅크 행장은 “케이뱅크는 다양한 고객혜택과 금리강점을 바탕으로 올해 더욱 빠르게 성장해 생활 속의 케이뱅크, No1. 인터넷은행이 되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