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그룹 전장계열 3사인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의 전장 수주잔고가 2년 안에 200조 원 규모에 이를 것이라는 증권업계 전망이 나왔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13일 “LG그룹 전자계열 3사의 수주잔고는 2025년까지 연평균 30조 원 증가세를 기록하면서 2025년에는 200조 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LG전자의 경우 고부가 인포테인먼트 제품 라인업 확대와 LG마그나이파워트레인(LG마그나)의 멕시코 신공장 생산능력이 확대되고 LG디스플레이는 차량용 올레드 디스플레이 고객기반이 2024년부터 9개 회사로 2023년과 비교해 3배 가량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LG이노텍의 경우 북미 전기차용 전장용 카메라 모듈 수주확대가 예상돼 LG그룹 전장계열 3사의 실적 호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KB증권은 LG그룹 전자계열 3사의 전장사업 매출은 2022년 12조 원에서 2025년 21조 원까지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2022년 1350억 원에서 2025년 1조2천억 원으로 급증할 것으로 추정했다.
김 연구원은 “LG마그나가 북미와 유럽 전기차 업체들로부터 따낸 수주가 예상을 뛰어넘으면서 올해부터 흑자궤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LG디스플레이는 차량용 올레드 생산라인이 풀가동되고 있는데 더해 감가상각 종료로 원가구조가 큰 폭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LG이노텍의 경우 고부가 중심의 전장용 카메라 모듈 수주 확대로 뚜렷한 가동률 개선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 요인으로 꼽힌다”고 설명했다. 조장우 기자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13일 “LG그룹 전자계열 3사의 수주잔고는 2025년까지 연평균 30조 원 증가세를 기록하면서 2025년에는 200조 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 LG그룹 전장계열 3사가 2025년까지 200조 원 규모의 수주잔고를 나타내면서 기업가치를 재평가받게 될 것이라는 증권업계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모습. <연합뉴스>
김 연구원은 “LG전자의 경우 고부가 인포테인먼트 제품 라인업 확대와 LG마그나이파워트레인(LG마그나)의 멕시코 신공장 생산능력이 확대되고 LG디스플레이는 차량용 올레드 디스플레이 고객기반이 2024년부터 9개 회사로 2023년과 비교해 3배 가량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LG이노텍의 경우 북미 전기차용 전장용 카메라 모듈 수주확대가 예상돼 LG그룹 전장계열 3사의 실적 호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KB증권은 LG그룹 전자계열 3사의 전장사업 매출은 2022년 12조 원에서 2025년 21조 원까지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2022년 1350억 원에서 2025년 1조2천억 원으로 급증할 것으로 추정했다.
김 연구원은 “LG마그나가 북미와 유럽 전기차 업체들로부터 따낸 수주가 예상을 뛰어넘으면서 올해부터 흑자궤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LG디스플레이는 차량용 올레드 생산라인이 풀가동되고 있는데 더해 감가상각 종료로 원가구조가 큰 폭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LG이노텍의 경우 고부가 중심의 전장용 카메라 모듈 수주 확대로 뚜렷한 가동률 개선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 요인으로 꼽힌다”고 설명했다.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