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상반기 간편결제 서비스 하루 평균 이용금액이 8천억 원을 넘겼다.
삼성페이와 LG페이에 이어 올해 3월부터 애플페이가 서비스를 시작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간편결제 서비스 하루 평균 이용건수는 2628만 건, 이용금액은 845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3.4%, 16.9% 각각 증가했다.
간편결제 서비스는 비밀번호, 생체 정보 등의 간편 인증수단을 이용한 결제 및 송금 서비스를 말한다.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금액을 제공업자별로 보면 전자금융업자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휴대폰 제조사 비중이 점차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 제조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상반기 22.1%에서 2023년 상반기에는 25.1%로 높아졌다.
휴대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간편결제 서비스 하루 평균 이용건수와 금액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건수는 지난해 상반기보다 23% 증가한 812만6천 건, 이용금액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24.3% 늘어난 2117억9천만 원으로 집계됐다. 조승리 기자
삼성페이와 LG페이에 이어 올해 3월부터 애플페이가 서비스를 시작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 상반기 간편결제 하루평균 이용액이 페이 서비스 확대에 영향을 받아 8천억 원을 넘겼다고 6일 한국은행이 밝혔다. 사진은 애플이 자사 홈페이지에 올린 애플 예금계좌 사용화면. <애플>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간편결제 서비스 하루 평균 이용건수는 2628만 건, 이용금액은 845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3.4%, 16.9% 각각 증가했다.
간편결제 서비스는 비밀번호, 생체 정보 등의 간편 인증수단을 이용한 결제 및 송금 서비스를 말한다.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금액을 제공업자별로 보면 전자금융업자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휴대폰 제조사 비중이 점차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 제조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상반기 22.1%에서 2023년 상반기에는 25.1%로 높아졌다.
휴대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간편결제 서비스 하루 평균 이용건수와 금액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건수는 지난해 상반기보다 23% 증가한 812만6천 건, 이용금액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24.3% 늘어난 2117억9천만 원으로 집계됐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