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내년에 고물가·고금리 등의 여파로 경제성장률이 1%대 후반으로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하나은행에 소속된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8일 ‘2023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국내에서 고물가·고금리의 부정적 파급효과가 확대되며 성장 둔화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경제성장률이 올해 2.6%(추정)에서 내년 1.8%로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나금융연구소 "내년 경제성장률 1.8%로 둔화, 고물가 고금리 여파"

▲ 2023년 고물가·고금리 등의 여파로 경제성장률이 1.8%로 둔화할 것으로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전망했다. 사진은 부산항 신선대부두 수출입 화물. <연합뉴스> 



민간소비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서비스 소비 여건이 개선되고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하면서 회복세를 이어가겠지만 가계의 실질 구매력 감소와 부채 부담 증가가 소비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증가율은 2022년 4.1%(추정)에서 2023년 2.2%로 둔화할 것으로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예상했다. 

건설투자는 건설자재가격 상승세 진정과 선행지표(건설수주 및 건축허가) 개선으로 회복세가 예상되지만 부동산 경기 위축, SOC(사회간접자본) 예산 감소, 자본조달비용 상승 등을 감안할 때 증가율은 1.4%(2022년 –1.6% 추정)에 그칠 것으로 바라봤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경기가 악화하는 상황에서 자본조달비용 상승, 경제 불확실성 확대 등의 영향으로 IT 제조업을 중심으로 회복세가 지연되며 역성장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수출은 글로벌 성장세가 둔화하는 흐름 속에서 반도체를 비롯한 주력 수출품목들의 단가 하락,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등의 영향으로 큰 폭으로 둔화하며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됐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내년에도 추가 금리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가계부채 부담과 경기둔화 우려에도 주요국이 물가와 환율의 안정화를 위해 고강도 통화긴축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큰 만큼 국내 기준금리도 3.75%까지 오를 수 있다고 바라봤다. 

추가 금리인상이 종료되는 시점은 내년 상반기가 될 것이라고 봤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단기금리는 내년 1분기에 기준금리 고점을 확인한 이후 변동성이 완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장기금리의 경우에는 경기침체 우려 속에 낙폭이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원/달러 환율은 내년 상반기에는 평균 1400원에서 움직이다가 하반기 1340원으로 낮아질 것으로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전망했다.

다만 원/달러 환율 변동성 위험은 여전히 높다고 평가했다. 

오현희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국내 수출 위축 및 서비스 적자 확대, 대외 불확실성 심화 등에 따른 외환시장의 변동성 위험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시장은 금리 급등으로 부채상환 부담이 증대되고 매수심리 위축도 지속되면서 가격 하락세가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하서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금융여건 악화 속에 과거와 달리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동조화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어 낙폭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바라봤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