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역대 최고수준으로 유지했다.
기획재정부는 피치가 28일 한국 국가신용등급과 전망을 기존과 동일한 수준인 ‘AA-’, ‘안정적’으로 유지했다고 밝혔다.
AA-는 전체 신용등급 가운데 네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피치는 신용등급 유지 결정에 대해 북한 관련 지정학적 위험에도 대외건전성과 거시경제 성과가 견고하고 수출 부문이 역동적인 점 등을 균형 있게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2022년 2.6%, 2023년 1.9%로 제시했다.
피치는 글로벌 경기 둔화, 서비스 소비로의 전환 등이 수출·설비투자 부담요인으로 작용하며 경제 성장률이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2년 5%, 2023년 1.5%로 제시했다.
피치는 물가 상승세가 8월 들어 다소 완화됐지만 원자재 가격 둔화 및 통화긴축 등으로 완화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피치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0.25%포인트 인상해 올해 말 한국의 기준금리가 2.75%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획재정부는 “대외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 속에서도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피치의 한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 시각이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특히 재정·대외건전성에 대한 시각은 전반적으로 지난번보다 개선된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기획재정부는 피치가 28일 한국 국가신용등급과 전망을 기존과 동일한 수준인 ‘AA-’, ‘안정적’으로 유지했다고 밝혔다.

▲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가 28일 한국 국가신용등급과 전망을 기존과 동일한 수준인 ‘AA-’,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사진은 부산항.
AA-는 전체 신용등급 가운데 네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피치는 신용등급 유지 결정에 대해 북한 관련 지정학적 위험에도 대외건전성과 거시경제 성과가 견고하고 수출 부문이 역동적인 점 등을 균형 있게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2022년 2.6%, 2023년 1.9%로 제시했다.
피치는 글로벌 경기 둔화, 서비스 소비로의 전환 등이 수출·설비투자 부담요인으로 작용하며 경제 성장률이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2년 5%, 2023년 1.5%로 제시했다.
피치는 물가 상승세가 8월 들어 다소 완화됐지만 원자재 가격 둔화 및 통화긴축 등으로 완화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피치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0.25%포인트 인상해 올해 말 한국의 기준금리가 2.75%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획재정부는 “대외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 속에서도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피치의 한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 시각이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특히 재정·대외건전성에 대한 시각은 전반적으로 지난번보다 개선된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