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주택매매거래가 금리 인상 등으로 위축됨에 따라 거래금액도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이 주택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전국 주택매매거래 총액은 84조9천억 원으로 집계돼 100조 원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기 기준으로 주택매매거래 총액이 100조 원 이하로 줄어든 것은 2019년 상반기(84조3천억 원) 이후 3년 만이다. 반기 최고 거래액을 기록한 2020년 하반기 201조 4천억 원과 비교하면 57.8% 감소한 셈이다.
아파트 거래만 골라봐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올해 상반기 아파트 매매거래 총액은 48조3천억 원으로 2012년 하반기(44조9천억 원) 이후 가장 적었다.
거래 금액이 가장 컸던 2020년 하반기 152조7천억 원과 견줘 68.4% 감소했고, 2021년 하반기(86조3천억 원)과 비교해서 44.0% 줄었다.
이 밖에 올해 상반기 단독·다가구 매매거래금액은 17조6천억 원, 연립·다세대는 13조9천억 원, 오피스텔은 5조2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시장 폭등이 나타난 수도권과 아파트 시장이 급격히 위축되고 그 여파가 아파트 외 주택시장과 지방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일부 지역과 상품에 국한된 국지적 위축이 아닌 전방향적 침체 확산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류수재 기자
16일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이 주택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전국 주택매매거래 총액은 84조9천억 원으로 집계돼 100조 원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 주택매매거래가 금리 인상 등으로 위축돼 상반기 거래금액이 100조 원 이하로 떨어졌다.
반기 기준으로 주택매매거래 총액이 100조 원 이하로 줄어든 것은 2019년 상반기(84조3천억 원) 이후 3년 만이다. 반기 최고 거래액을 기록한 2020년 하반기 201조 4천억 원과 비교하면 57.8% 감소한 셈이다.
아파트 거래만 골라봐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올해 상반기 아파트 매매거래 총액은 48조3천억 원으로 2012년 하반기(44조9천억 원) 이후 가장 적었다.
거래 금액이 가장 컸던 2020년 하반기 152조7천억 원과 견줘 68.4% 감소했고, 2021년 하반기(86조3천억 원)과 비교해서 44.0% 줄었다.
이 밖에 올해 상반기 단독·다가구 매매거래금액은 17조6천억 원, 연립·다세대는 13조9천억 원, 오피스텔은 5조2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시장 폭등이 나타난 수도권과 아파트 시장이 급격히 위축되고 그 여파가 아파트 외 주택시장과 지방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일부 지역과 상품에 국한된 국지적 위축이 아닌 전방향적 침체 확산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