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대 이동통신사 AT&T의 콘텐츠 자회사 워너미디어와 케이블TV채널 사업자 디스커버리가 합병한다.
AT&T와 디스커버리는 17일(현지시간) 두 회사가 미디어 콘텐츠 자산을 통합하는 데 합의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해외언론은 신생 합병회사의 가치를 부채를 포함해 최대 1500억 달러(171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워너미디어는 케이블채널 CNN, HBO, 시네맥스, TNT, TBS와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인 워너브라더스를 보유하고 있다. 디스커버리는 케이블채널 디스커버리와 애니멀플래닛, HGTV 등을 소유하고 있다.
뉴욕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합의에 따라 AT&T는 워너미디어를 기업분할한 뒤 디스커버리와 합병해 새 미디어 회사를 출범한다.
블룸버그는 "이번 합병은 AT&T가 디스커버리와 미디어 자산을 결합함으로써 넷플릭스와 디즈니의 강력한 경쟁자가 될 수 있는 사업체를 만들려는 취지다"고 분석했다.
워너미디어는 'HBO맥스', 디스커버리는 '디스커버리플러스'라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각각 운영하고 있지만 경쟁사들과 비교해 한 발 뒤처져 있다고 평가된다.
워너미디어와 디스커버리 합병은 2022년 중반쯤 마무리될 것으로 전해졌다. 신생 합병회사의 지분 71%는 AT&T 주주가, 나머지 29%는 디스커버리 주주가 각각 보유한다.
AT&T는 이번 합병으로 현금과 부채를 합쳐 모두 430억 달러(49조 원)을 받는다. 이는 2018년 워너미디어의 전신 타임워너를 인수할 때 지급한 850억 달러(97조 원)의 절반 수준이다.
신생 합병회사는 데이비드 재슬라브 디스커버리 최고경영자(CEO) 이끌게 된다.
재슬라브 디스커버리 CEO는 "역사적 브랜드, 세계적 수준의 언론매체를 한 지붕아래 통합하게 돼 반갑다"며 "양사의 미디어 자산이 함께하며 더 가치있어 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
AT&T와 디스커버리는 17일(현지시간) 두 회사가 미디어 콘텐츠 자산을 통합하는 데 합의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해외언론은 신생 합병회사의 가치를 부채를 포함해 최대 1500억 달러(171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 댈러스에 위치한 미국 최대 이동통신사 AT&T 본사. <연합뉴스>
워너미디어는 케이블채널 CNN, HBO, 시네맥스, TNT, TBS와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인 워너브라더스를 보유하고 있다. 디스커버리는 케이블채널 디스커버리와 애니멀플래닛, HGTV 등을 소유하고 있다.
뉴욕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합의에 따라 AT&T는 워너미디어를 기업분할한 뒤 디스커버리와 합병해 새 미디어 회사를 출범한다.
블룸버그는 "이번 합병은 AT&T가 디스커버리와 미디어 자산을 결합함으로써 넷플릭스와 디즈니의 강력한 경쟁자가 될 수 있는 사업체를 만들려는 취지다"고 분석했다.
워너미디어는 'HBO맥스', 디스커버리는 '디스커버리플러스'라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각각 운영하고 있지만 경쟁사들과 비교해 한 발 뒤처져 있다고 평가된다.
워너미디어와 디스커버리 합병은 2022년 중반쯤 마무리될 것으로 전해졌다. 신생 합병회사의 지분 71%는 AT&T 주주가, 나머지 29%는 디스커버리 주주가 각각 보유한다.
AT&T는 이번 합병으로 현금과 부채를 합쳐 모두 430억 달러(49조 원)을 받는다. 이는 2018년 워너미디어의 전신 타임워너를 인수할 때 지급한 850억 달러(97조 원)의 절반 수준이다.
신생 합병회사는 데이비드 재슬라브 디스커버리 최고경영자(CEO) 이끌게 된다.
재슬라브 디스커버리 CEO는 "역사적 브랜드, 세계적 수준의 언론매체를 한 지붕아래 통합하게 돼 반갑다"며 "양사의 미디어 자산이 함께하며 더 가치있어 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