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환 케이뱅크 행장이 케이뱅크 대출영업을 재개해도 건전성 관리에 공을 들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케이뱅크가 1년 넘게 중지된 대출영업을 재개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지만 기존 대출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어 대출 건전성 관리에도 신경써야 한다는 시선이 나온다.
9일 케이뱅크에 따르면 자본확충과 대출상품 재편을 함께 진행하며 대출영업 재개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BC카드와 우리은행, NH투자증권을 통한 4천억 원 규모의 자본확충이 이뤄지는 대로 대출영업부터 정상화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케이뱅크는 2019년 KT를 통한 자본확충 길이 막히면서 대출영업을 1년 넘게 중지해 왔는데 KT 자회사인 BC카드를 대주주로 내세우는 유상증자 방안을 통해 자본을 확충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이 행장은 케이뱅크 사업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유상증자 참여를 미루던 우리은행을 직접 찾아가 설득하는 등 케이뱅크 자본확충을 위해 공을 들였다.
우리은행은 6월 말 케이뱅크 유상증자 참여를 결정하며 케이뱅크 대출영업 재개를 위한 자본확충은 무리 없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BC카드도 7일 KT가 기존에 보유한 케이뱅크 지분 10%를 매입하면서 케이뱅크 유상증자 참여 의사를 실행했다.
이에 이 행장은 자본을 확충한 뒤 대출영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대출상품도 개편했다.
케이뱅크는 7일 '직장인K 신용대출', '직장인K 마이너스통장', '슬림K 신용대출', '일반가계 신용대출' 등 모든 대출상품을 재정비했다. 직장인K 신용대출에 대출한도를 1억 원 늘려 2억5천만 원으로 변경하고 슬림K 신용대출에 중도상환 해약금을 면제했다.
다만 케이뱅크가 대출영업 재개를 서두르고 있지만 가계대출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어 케이뱅크 건전성과 관련한 우려의 시선도 늘고 있다.
케이뱅크는 중저신용자를 위한 중금리대출에 대출영업이 집중돼 있는 만큼 연체율 관리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케이뱅크는 6월 말 기준으로 가계대출 연체율이 1.97%를 보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 연체율 0.87%보다 2배 이상 늘어났다.
반면 6월 기준 시중은행의 평균 가계대출 연체율은 0.26%로 나타났다.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의 가계대출 연체율도 올해 1분기 기준으로 0.2%에 불과하다.
이 행장이 대출영업을 재개해도 건전성 문제가 지속해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셈이다.
이 행장은 KT 출신으로 BC카드 대표를 3년 지냈지만 금융권 경력이 없다.
BC카드도 다른 카드사와 달리 카드 직접 발급보다는 중소 카드발급사에 결제망을 제공하는 ‘신용카드 프로세싱’을 주된 업무로 하고 있어 이 행장이 사실상 케이뱅크의 금융 건전성 관리를 놓고 첫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하지만 이 행장이 케이뱅크 건전성 관리에 힘을 싣고 싶어도 방안을 마련하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케이뱅크는 이번 자본확충을 대출영업 확대에 사용해야 하는 만큼 연체대출을 부실채권으로 상각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운용하기도 어렵다.
물론 케이뱅크는 대출 연체율과 관련해 전체 대출액이 줄어 상대적으로 연체율이 높아진 것이라고 큰 문제가 아니라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연체율 숫자 자체는 높아보일 수 있지만 대출영업이 1년 넘게 중단되면서 모수(대출총금액)가 줄어든 영향이 크다"며 "대출영업이 재개되면 낮아질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케이뱅크는 BC카드와 우리은행, NH투자증권 등 3대 대주주에 전환주식 1574억 원을 발행하고 유상증자 2392억 원을 진행해 28일까지 4천억 원 규모의 자본을 확충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유상증자와 전환주식 발행이 이뤄지면 케이뱅크 총자본금은 9017억 원으로 늘어난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종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