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중소 알뜰폰사업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진정성있는 협력방안이라고 내세우고 있는 반면 SK텔레콤과 KT는 CJ헬로 인수에 따른 반발을 잠재우기 위한 ‘보여주기식 꼼수’라며 공격하고 있다.
▲ 하현회 LG유플러스 대표이사 부회장.
중소 알뜰폰사업자들을 육성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놓고 보면 SK텔레콤과 KT의 공격은 문제의 핵심을 빗나간 것이라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
알뜰폰은 정부가 국민들의 통신비 절감을 위해 시작한 사업이다.
국내 알뜰폰가입자는 현재 800만 명 수준으로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 가운데 약 12%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통신요금 부담을 줄여줄 뿐 아니라 이동통신사업자들이 제공하는 획일적 요금제에서 벗어나 회사별로 특색있는 다양한 요금제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선택권을 늘리고 이동통신시장에 혁신을 불러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알뜰폰사업자들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사업자들의 통신망을 임대해 사용한다는 특성 때문에 이동통신사업자들과 관계에서 '을'이 될 수밖에 없는 태생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동통신사업자들은 각자 KT엠모바일, SK텔링크, 미디어로그 등 자회사를 통해 알뜰폰사업에 직접 뛰어들고 있기도 하다. 국내에서 알뜰폰사업이 충분히 성장하지 못한 이유를 이동통신사업자들의 견제에서 찾는 시각도 한쪽에서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LG유플러스가 자회사인 미디어로그와 앞으로 계열사가 될 수 있는 CJ헬로까지 지원대상에서 제외한 채 오로지 ‘중소’ 알뜰폰사업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내놨다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 될 수도 있다.
특히 중소 알뜰폰사업자들이 홈페이지에서 신규가입, 기기변경, 번호이동 등을 신청할 수 있도록 IT시스템을 구축해주고 마케팅도 지원하고 직영점에서 중소알뜰폰사업자들의 고객서비스(CS)를 지원하겠다는 방안은 알뜰폰사업자들과 고객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방안임에 분명하다.
물론 SK텔레콤과 KT의 주장대로 LG유플러스가 ‘상생안’을 발표한 시점이 오해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것은 사실이다.
공정위는 10일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와 관련해 ‘조건부 승인’ 결정을 내리면서 CJ헬로 알뜰폰사업 분리 조건을 내걸지 않았다. 하지만 공정위와 과기정통부가 최종 심사 과정에서 알뜰폰사업과 관련해 조건을 추가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이다.
SK텔레콤과 KT의 지적이 터무니없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LG유플러스의 알뜰폰 지원방안이 CJ헬로 알뜰폰사업를 무리없이 인수하기 위한 '구색'일 수도 있다. LG유플러스가 CJ헬로를 인수한 뒤 헬로모바일의 SK텔레콤과 KT가입자들을 LG유플러스로 넘길 수 있다는 우려도 충분히 이해는 간다.
그렇다고 LG유플러스가 내놓은 상생방안에 담겨있는 '선의'조차 부정돼서는 안된다.
SK텔레콤과 KT가 우려하는 불공정행위를 막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검토되고 있는 만큼 공식 경로를 통해 충분히 의견을 개진하면 된다. 우려가 현실화한다면 그를 바로 잡을 방법도 존재한다.
SK텔레콤과 KT가 이번 LG유플러스의 상생안 발표를 놓고 사업에 미칠 영향만을 우려할 게 아니라 알뜰폰업계를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일을 고민하는 계기로 삼았으면 한다. LG유플러스의 상생안이 생색내기에 그쳐서는 안됨은 말할 필요도 없다.[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