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가 디지털 광고시장 등에서 점점 더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는 데 따라 ‘가짜뉴스’ 등 폐해를 놓고 우려도 커지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미디어를 소비하는 형태가 모바일로 집중되면서 유튜브 광고가 디지털 광고시장에 그치지 않고 TV 광고시장도 대체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유튜브 디지털광고 존재감 커져, '가짜뉴스' 창구로 폐해도 심각

▲ 수전 보이치키 유튜브 CEO.


메조미디어 등에 따르면 유튜브는 한국 광고사업에서 2017년 매출 3154억 원을 올려 2016년보다 약 79% 늘어났다. 올해는 한국 광고사업에서 매출 5천 억 원가량을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네이버가 올해 디스플레이 광고에서 매출 5941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되는데 유튜브가 바짝 따라붙고 있는 셈이다.

유튜브는 올해 한국 디지털 광고시장에서 점유율 12%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년 5.2%, 2017년 8.2%에서 빠르게 점유율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유튜브 플랫폼의 광고 수요 확대는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다. 한국 모바일 광고시장이 2017년 지상파와 신문잡지, 인터넷 광고시장 규모를 넘어섰는데 유튜브는 모바일시장에서 압도적 트래픽을 자랑하는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모바일 광고기업 인크로스가 올해 7월 기준으로 1인당 월 평균 주요 모바일 앱의 체류시간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유튜브가 1019분으로 1위를 차지했다. 사람들의 유튜브 체류 시간이 2년 전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카카오톡은 804분, 네이버는 700분, 페이스북은 462분으로 그 뒤를 이었다.

유튜브가 이렇게 압도적 시장 지배력을 지니고 영향력을 키워가자 ‘가짜뉴스’ 문제의 심각성도 부각되고 있다.

유튜브는 외국기업인 구글이 운영하고 있어 규제에서 한 걸음 빗겨나 있는 공간으로 ‘가짜뉴스’의 유통창구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가짜뉴스는 정치·경제적 이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언론 보도의 형식을 하고 유포된 거짓 정보를 말한다.

유튜브 극우보수 성향 1인 채널은 특히 정치적 목적을 위한 가짜뉴스의 온상으로 사용되는 데 구독자 수는 점점 늘어나는 양상을 보여 문제가 되고 있다. 

‘5·18 인민군 투입설’같은 가짜뉴스가 유튜브를 통해 유포되자 더불어민주당이 당 차원에서 삭제를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은 사례도 있다.

유튜브는 이용자 제작 콘텐츠(UGC)가 전체 영상 콘텐츠의 56%를 차지하고 있어 구조적으로 이런 악용에도 취약할 수 있다. 

법무부는 10월16일 ‘허위조작 정보 처벌 강화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가짜뉴스 유통창구로 이용되는 유튜브 등 1인 방송에 관해 앞으로 언론사의 보도에 준하는 책임을 묻겠다는 것이다.

다만 이를 두고 무엇이 가짜뉴스인지 정의하기 어렵고 명예훼손죄 등 현행법으로 허위 정보를 처벌할 수 있어 추가 규제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이 전반적으로 위축될 것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가짜뉴스 문제는 여론을 조작하는 가짜 정보의 폐해와 표현의 자유라는 상반된 가치 사이에서 쉬운 해결책이 없는 문제인 것이다.

유튜브는 이런 가짜뉴스 유통 논란을 놓고 “유튜브는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개방형 플랫폼으로 표현의 자유를 존중하지만 유튜브의 가이드라인을 위반했다고 판단하면 삭제 처리하고 있고 법적 위반사항 신고를 통해 콘텐츠 삭제를 요청하는 별도의 절차도 있다”며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정책과 알고리즘을 변경하는 등의 노력에도 더욱 힘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