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린푸드가 600억 원을 들여 식품 제조공장을 세운다.
현대그린푸드는 식품 제조분야로 사업범위를 확장해 앞으로 5년 안에 매출을 2배 수준으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2일 현대그린푸드에 따르면 올해 8월 경기도 성남시 상대원동의 부지 1만5914제곱미터(약 4800평)에 바닥면적 8264제곱미터(약 2500평) 규모로 ‘스마트 푸드센터’를 착공할 계획을 세웠다.
스마트 푸드센터는 대형 솥을 이용해 구이와 볶음 요리를 만드는 '자동 직화 설비', 낮은 온도에서 단시간에 식재료를 해동하는 '진공 해동 기술', 산소 접촉을 차단해 음식물 신선도를 유지하는 '진공 수축 설비' 등 최신 설비와 기술을 갖춘 식품 제조공장이다.
현대그린푸드는 스마트 푸드센터에서 가정간편식 브랜드인 '그리팅(Greating)' 제품과 단체 급식용 제품을 생산할 것으로 예정됐다.
현대그린푸드는 내년 1분기 안에 스마트 푸드센터 공사를 마무리하기로 했으며 토지 매입과 공장 신축 등에 6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현대그린푸드는 스마트 푸드센터 설립을 통해 1년 동안 식품을 최대 3만1천 톤까지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하루 평균 100톤 정도로 약 40만 인분 수준이다.
현대그린푸드 관계자는 “스마트 푸드센터 구축을 통해 국내외 식자재시장뿐 아니라 B2C(기업과 소비자 사이 거래)시장을 공략할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며 “기존 단체급식 서비스와 식자재 유통사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고 가정간편식을 차별화해 앞으로 5년 안에 매출을 3조 원대로 끌어 올리겠다”고 말했다.
현대그린푸드는 지난해 별도기준으로 매출 규모가 1조5542억 원 수준을 보였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
현대그린푸드는 식품 제조분야로 사업범위를 확장해 앞으로 5년 안에 매출을 2배 수준으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 박홍진 현대그린푸드 대표이사.
2일 현대그린푸드에 따르면 올해 8월 경기도 성남시 상대원동의 부지 1만5914제곱미터(약 4800평)에 바닥면적 8264제곱미터(약 2500평) 규모로 ‘스마트 푸드센터’를 착공할 계획을 세웠다.
스마트 푸드센터는 대형 솥을 이용해 구이와 볶음 요리를 만드는 '자동 직화 설비', 낮은 온도에서 단시간에 식재료를 해동하는 '진공 해동 기술', 산소 접촉을 차단해 음식물 신선도를 유지하는 '진공 수축 설비' 등 최신 설비와 기술을 갖춘 식품 제조공장이다.
현대그린푸드는 스마트 푸드센터에서 가정간편식 브랜드인 '그리팅(Greating)' 제품과 단체 급식용 제품을 생산할 것으로 예정됐다.
현대그린푸드는 내년 1분기 안에 스마트 푸드센터 공사를 마무리하기로 했으며 토지 매입과 공장 신축 등에 6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현대그린푸드는 스마트 푸드센터 설립을 통해 1년 동안 식품을 최대 3만1천 톤까지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하루 평균 100톤 정도로 약 40만 인분 수준이다.
현대그린푸드 관계자는 “스마트 푸드센터 구축을 통해 국내외 식자재시장뿐 아니라 B2C(기업과 소비자 사이 거래)시장을 공략할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며 “기존 단체급식 서비스와 식자재 유통사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고 가정간편식을 차별화해 앞으로 5년 안에 매출을 3조 원대로 끌어 올리겠다”고 말했다.
현대그린푸드는 지난해 별도기준으로 매출 규모가 1조5542억 원 수준을 보였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