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정부가 반도체 관세를 2주 뒤에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27일(현지시각) 로이터에 따르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영국 스코트랜드 턴베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무역협상 합의를 발표하는 자리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러트닉 장관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다른 반도체 관세를 2주 뒤에 발표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우리는 반도체 생산을 미국으로 다시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것이 바로 EU가 모든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는 걸 시도하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회동한 핵심 이유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대만과 다른 곳에서 많은 기업들이 미국으로 들어오고 있으며, 이는 관세를 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는 특정 품목 수입이 미국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관세 등을 통해 수입을 제한할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반도체 외에도 의약품, 구리 등에 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반도체 관세가 시행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도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김호현 기자
27일(현지시각) 로이터에 따르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영국 스코트랜드 턴베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무역협상 합의를 발표하는 자리에 참석했다.

▲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27일(현지시각) 스코트랜드 턴베리에서 열린 미국과 유럽연합(EU) 정상회담에 참석해 반도체 관세를 2주 후에 발표할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사진은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연합뉴스>
이 자리에서 러트닉 장관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다른 반도체 관세를 2주 뒤에 발표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우리는 반도체 생산을 미국으로 다시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것이 바로 EU가 모든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는 걸 시도하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회동한 핵심 이유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대만과 다른 곳에서 많은 기업들이 미국으로 들어오고 있으며, 이는 관세를 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는 특정 품목 수입이 미국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관세 등을 통해 수입을 제한할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반도체 외에도 의약품, 구리 등에 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반도체 관세가 시행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도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