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장관이 한미 무역협상과 관련해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모든 방안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2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대미통상 긴급점검 회의 모두발언에서 “미국의 관세 조치가 현실화할 경우 우리가 맞닥뜨려야 할 통상 이슈부터 공급망 조정 문제까지 기업들에 닥친 불확실성이 매우 큰 상황”이라며 “이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우리 산업 전반에 걸쳐 실효적 대책을 마련하려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산업장관 김정관 첫 대미통상 긴급점검 회의 주재, "모든 가능성 열어두고 대책 마련"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대미통상 긴급점검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 장관은 한미 관세협상이 진행되면서 제기되는 우려를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이 요구하는 쌀·사과 등 농산물 추가 개방과 소고기 월령제한 완화 등을 두고 국내에서 제기되는 우려를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관세 협상 관련 국내에서 많은 우려가 제기되는 점도 깊이 유념하고 있다”며 “민감성을 최대한 반영하면서도 전반적 국익 관점에서 최선의 결과가 도출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지금까지 미국과 제조업 협력에 초점을 맞춰 협상을 진행해 왔지만 다른 나라들의 사례를 볼 때 관세협상 결과를 낙관하기는 어렵다고 바라봤다.

김 장관은 협상 진행 상황에 관해 “국익 극대화의 원칙 하에 실용적 관점에서 양국이 '윈윈'할 수 있는 제조업 협력 파트너십과 미국이 가장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무역적자 완화를 위해 비관세 조치 등 다양한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그러나 다른 나라 상황에서도 보시다시피 대미 관세 협상은 녹록지 않은 매우 엄중한 상황이고 베스트(최고)·워스트(최악) 시나리오가 모두 열려 있는 아주 엄중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대미통상 긴급점검 회의는 미국의 관세 조치 부과 예고 시점(오는 8월1일)이 임박한 상황에서 정부의 협상 전략을 민간과 공유하고 민간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소집됐다.

이날 회의에는 박일준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 이인호 무역협회 부회장, 강남훈 자동차협회 회장, 김정회 반도체협회 부회장, 박태성 배터리협회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