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한 상호관세 정책을 끝까지 밀어붙이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미국 경제에 미칠 타격을 고려하면 이는 결국 협상 테이블에 오를 수 있다는 분석이 제시됐다.
미국 경제지표 또는 유권자 지지율이 악화하기 시작한다면 트럼프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무역 협상에 나서며 탈출구를 찾으려 할 것이라는 전망도 이어졌다.
월스트리트저널은 7일 논평을 내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는 블러핑”이라며 “다른 국가들이 미국에 상호관세 면제를 제안해 그를 시험대에 올려야 한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10%의 수입 관세를,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에는 더 높은 세율을 매기는 내용의 상호관세 정책을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트럼프 정부가 관세를 정치적 목적 또는 협상 수단으로 활용하는 데 그칠 것이라는 예측이 벗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관세가 미국 경제 성장을 이끌 효과적 방법이라고 믿고 있다는 사실이 이번 정책 발표로 뚜렷하게 파악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상호관세 발표 뒤 미국 증시가 큰 폭으로 떨어지자 트럼프 대통령이 돌연 관세 정책과 관련한 태도를 바꿨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 이어졌다.
베트남이 미국과 협상을 통해 수입 관세율을 0%로 낮추겠다는 의사를 전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에 직접 알리며 적극 홍보에 나섰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는 베트남에서 수입하는 물품에 46% 관세 부과를 발표했다. 베트남 정부는 보복관세를 부과하는 대신 미국에 관세 면제를 제안하며 협상에 나섰다.
이러한 사례가 다른 국가와 무역 협상에서도 반복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만약 미국 경제 지표와 지지율이 악화한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에 ‘출구전략’을 찾아야 할 수밖에 없다”며 “결국 미국의 수입관세 부과 계획은 다시금 협상 수단으로 테이블에 오를 것”이라고 바라봤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정책을 강력하게 밀어붙인다고 해도 미국 경제와 증시에 타격이 이어진다면 협상을 통해 이를 일부 철회하거나 수정하는 일은 불가피해질 수 있다는 의미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정책 방향을 절대 바꾸지 않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말을 신뢰하기는 어렵다”며 “세계 각국이 미국에 관세 면제를 비롯한 제안을 적극 내놓아볼 만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