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트럼프 정부가 자동차에 고율 관세 부과를 강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국 자동차 제조사 및 산업 전반에도 큰 타격이 예상되지만 이를 감수하고 정책을 밀어붙일 수 있다는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대부분의 자동차 제조사가 관세를 반영해 자동차 가격을 크게 인상하거나 수익성에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게 됐지만 정책 방향성을 바꿀 가능성은 낮아지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27일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은 자동차 업계에서 반기기 어려운 일”이라며 “이들이 큰 후폭풍에 대비해야만 하는 처지에 놓였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통해 미국 제조업 활성화를 목표로 외국에서 수입되는 자동차에 25%의 일괄 관세를 부과하고 이를 절대 철회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미국 ‘빅3’ 자동차 제조사로 꼽히는 GM과 포드, 스텔란티스 수장에 직접 전화를 걸어 이런 내용을 전하며 철저한 대비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실상 이들 기업이 다른 국가에서 운영하는 자동차 공장을 미국으로 이전하도록 강력한 압박을 내놓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뉴욕타임스는 “빅3 자동차 제조사 수장들은 이제 더 이상 트럼프 정부에 저항할 수 없다는 점을 깨달았을 것”이라며 이는 충분히 예견되었던 시나리오라고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미국 제조업 활성화 및 경제 회복에 핵심 전략으로 활용하겠다는 시각을 분명히 하고 있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스는 다수의 백악관 내부 관계자들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의지가 분명하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관세를 단순히 협상카드로 앞세워 외교 및 무역 정책에서 우위를 노리는 것을 넘어 이를 실제로 강행할 가능성이 매우 유력하다는 의미다.
미국 증시는 트럼프 정부 정책 불확실성과 관세에 따른 악영향을 반영해 약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정부의 전례를 참조해 증시 호황이 반드시 경제 성장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시각을 굳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지키기 위해서도 이러한 관세 정책을 완화하거나 폐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계자들의 말을 전했다.

▲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에 위치한 스텔란티스 자동차 공장 내부.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에도 다수의 산업을 대상으로 관세 부과를 예고했지만 자국 및 글로벌 기업의 미국 내 투자 유치에 성과를 내자 이를 대부분 철회하거나 완화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확실히 1기 정부와 다른 분위기가 감지된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결국 포드와 GM, 스텔란티스는 물론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이 현대자동차그룹을 뒤따라 미국 내 투자 확대에 더욱 속도를 낼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제시된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미국에 210억 달러(약 31조 원) 규모의 자동차 및 철강 공장 건설과 설비 투자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관세 정책의 성과로 적극 강조했다. 확실한 성공 사례를 확보한 만큼 자동차 제조사들을 향한 압박이 더욱 거세질 공산이 크다.
다만 미국 기업들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단체들은 여전히 트럼프 정부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미국 상공회의소는 경제전문지 포천에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는 미국 자동차 산업을 돕기보다 해를 끼칠 가능성이 크다”며 “시장에 큰 공백이 생길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씽크탱크 카토인스티튜트 역시 자동차 관세 정책이 미국 제조사들에 타격을 입힐 것이라며 이들이 성장해 온 배경은 자유무역과 해외 투자에 있다고 강조했다.
회계법인 KPMG는 포천에 “트럼프 정부 관세는 미국 내 자동차 평균 가격을 약 20% 높일 것”이라며 “소비시장에 큰 충격을 불러올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중장기 경제 성장을 위해 단기 희생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이번에 발표한 정책을 계속 밀어붙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자동차 제조사들은 트럼프 정부 정책에 위협을 받아 공개적으로 반대하는 목소리마저 내지 못하고 있다”며 정치권의 비판도 좀처럼 힘을 얻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