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수력원자력을 중심으로 구성된 ‘팀코리아’가 체코 원전 수출에서 최종 계약 단계를 앞두고 안팎에서 뒤숭숭한 상황에 놓였다.
대우건설, 두산에너빌리티 등 팀코리아에 참여 중인 민간 기업들로서도 체코 원전 수주의 성사 여부에 따라 올해 실적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되는 만큼 긴장감이 클 것으로 보인다.
25일(현지시각) 체코 프라하에서 열리는 ‘한-체코 원자력 산업 컨퍼런스’ 참석을 위해 한국 측 관계자들이 현지를 방문한다.
방문단은 황주호 한수원 사장을 비롯해 한국전력공사, 대우건설, 두산에너빌리티 등 관계자들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팀코리아는 이번 방문을 통해 체코 정부, 발주처인 체코전력공사(CEZ) 등과 3월 중으로 예정된 최종 계약 체결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팀코리아는 체코 원전 수주의 최대 걸림돌로 여겨졌던 미국 웨스팅하우스의 지식재산권 주장과 관련해 올해 1월에 분쟁 종결까지 합의하면서 최종 계약 체결의 고비를 넘은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최종 계약 체결을 한 달 정도 앞둔 현재 시점에서 한국에서나 체코에서나 불안한 분위기가 감지된다.
체코 현지 언론에서는 한국과 최종 계약을 맺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원전 건설을 한국에 맡기는 것이 체코 원전 기술의 발전에 부정적일 뿐만 아니라 한국 정치권의 불확실한 사정이 주요 근거로 제시됐다.
지난해 12월3일 계엄 사태에 따른 결과로 조기 대선 및 정권 교체에 따른 불확실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루카스 코반다 체코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은 13일 체코 유력 일간지인 리도베 노비니에 실린 칼럼을 통해 “원전 건설을 한국 기업에 맡기는 것은 체코와 유럽 원자력산업 기술이 장기적 발전을 포기한 것”이라며 “한국의 조기 대선 문제 등이 계약 진행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팀코리아 내에서 한수원과 한전이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의 정산 문제를 놓고 국제분쟁 절차의 진행이 예상될 정도로 강하게 충돌하고 있다는 점도 원전 수출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요인이다.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은 1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출석해 자회사인 한수원이 한전에 추가 정산금을 요구하는 상황을 놓고 “받아들일 수 없는 일로 유감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2022년에 협력의향서(LOI)를 체결한 폴란드 원전의 수주도 무산될 가능성이 커진 상태다. 폴란드에서 정권이 교체되면서 원전 건설을 원점 재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 정부의 상황, 내부 불화 등을 고려하면 폴란드 원전의 수주 성사를 위해 현지 정부를 설득하는 등 팀코리아의 조직적 대응 움직임은 기대하기 어렵다.
체코에서 두코바니를 비롯해 향후 협상이 예정된 테믈린 등까지 전체 수주 규모는 40조 원 이상으로 예상됐다. 폴란드 원전의 수주 규모는 20조 원 수준으로 기대됐다.
막대한 규모의 원전 수주가 연이어 좌초될 위험성이 커지면서 두산에너빌리티, 대우건설 등 팀코리아에 참여한 민간 기업들로서는 수주 실적에 큰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해 7조1천억 원의 수주 실적을 달성했으나 올해 수주 목표는 10조7천억 원으로 높여 잡았다.
목표치 상향에는 4조 원에 가까울 것으로 예상되는 체코 원전 수주의 가능성이 반영된 것이다.
대우건설은 지난해 해외수주 실적이 6118억 원으로 목표치인 3조500억 원에 크게 미달했다.
하지만 올해 목표는 14조2천억 원으로 잡았다. 두산에너빌리티와 마찬가지로 지난해 연내 최종 계약이 미뤄진 체코 원전 수주의 확정이 목표치 상향에 전제로 깔린 것으로 읽힌다.
체코 원전 수주가 무산되면 두 기업 모두 올해 수주 목표를 달성하는데 타격이 클 수밖에 없는 상황인 셈이다.
다만 한국을 비롯해 체코에서도 정부 인사들은 최종 계약 체결을 위한 협상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7일 루카쉬 블첵 체코 산업부 장관과 만나 “체코 두코바니 신규원전 건설의 최종 계약을 원활히 체결해 그동안 긴밀했던 양국 관계를 완전히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해 나가자”고 말했다.
루카쉬 블첵 장관은 이날 “한국이 지난 5개월 동안 원전 프로젝트와 관련해 밤낮으로 많은 노력을 해왔다”며 “계획된 일정에 따라 상호 수용 가능한 계약에 도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상호 기자
대우건설, 두산에너빌리티 등 팀코리아에 참여 중인 민간 기업들로서도 체코 원전 수주의 성사 여부에 따라 올해 실적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되는 만큼 긴장감이 클 것으로 보인다.

▲ 체코 두코바니 원전의 모습. <연합뉴스>
25일(현지시각) 체코 프라하에서 열리는 ‘한-체코 원자력 산업 컨퍼런스’ 참석을 위해 한국 측 관계자들이 현지를 방문한다.
방문단은 황주호 한수원 사장을 비롯해 한국전력공사, 대우건설, 두산에너빌리티 등 관계자들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팀코리아는 이번 방문을 통해 체코 정부, 발주처인 체코전력공사(CEZ) 등과 3월 중으로 예정된 최종 계약 체결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팀코리아는 체코 원전 수주의 최대 걸림돌로 여겨졌던 미국 웨스팅하우스의 지식재산권 주장과 관련해 올해 1월에 분쟁 종결까지 합의하면서 최종 계약 체결의 고비를 넘은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최종 계약 체결을 한 달 정도 앞둔 현재 시점에서 한국에서나 체코에서나 불안한 분위기가 감지된다.
체코 현지 언론에서는 한국과 최종 계약을 맺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원전 건설을 한국에 맡기는 것이 체코 원전 기술의 발전에 부정적일 뿐만 아니라 한국 정치권의 불확실한 사정이 주요 근거로 제시됐다.
지난해 12월3일 계엄 사태에 따른 결과로 조기 대선 및 정권 교체에 따른 불확실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루카스 코반다 체코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은 13일 체코 유력 일간지인 리도베 노비니에 실린 칼럼을 통해 “원전 건설을 한국 기업에 맡기는 것은 체코와 유럽 원자력산업 기술이 장기적 발전을 포기한 것”이라며 “한국의 조기 대선 문제 등이 계약 진행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팀코리아 내에서 한수원과 한전이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의 정산 문제를 놓고 국제분쟁 절차의 진행이 예상될 정도로 강하게 충돌하고 있다는 점도 원전 수출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요인이다.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은 1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출석해 자회사인 한수원이 한전에 추가 정산금을 요구하는 상황을 놓고 “받아들일 수 없는 일로 유감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2022년에 협력의향서(LOI)를 체결한 폴란드 원전의 수주도 무산될 가능성이 커진 상태다. 폴란드에서 정권이 교체되면서 원전 건설을 원점 재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 정부의 상황, 내부 불화 등을 고려하면 폴란드 원전의 수주 성사를 위해 현지 정부를 설득하는 등 팀코리아의 조직적 대응 움직임은 기대하기 어렵다.

▲ 루카스 블첵 체코 산업통상부 장관이 지난 17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한-체코 장관급 공급망·에너지 대화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체코에서 두코바니를 비롯해 향후 협상이 예정된 테믈린 등까지 전체 수주 규모는 40조 원 이상으로 예상됐다. 폴란드 원전의 수주 규모는 20조 원 수준으로 기대됐다.
막대한 규모의 원전 수주가 연이어 좌초될 위험성이 커지면서 두산에너빌리티, 대우건설 등 팀코리아에 참여한 민간 기업들로서는 수주 실적에 큰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해 7조1천억 원의 수주 실적을 달성했으나 올해 수주 목표는 10조7천억 원으로 높여 잡았다.
목표치 상향에는 4조 원에 가까울 것으로 예상되는 체코 원전 수주의 가능성이 반영된 것이다.
대우건설은 지난해 해외수주 실적이 6118억 원으로 목표치인 3조500억 원에 크게 미달했다.
하지만 올해 목표는 14조2천억 원으로 잡았다. 두산에너빌리티와 마찬가지로 지난해 연내 최종 계약이 미뤄진 체코 원전 수주의 확정이 목표치 상향에 전제로 깔린 것으로 읽힌다.
체코 원전 수주가 무산되면 두 기업 모두 올해 수주 목표를 달성하는데 타격이 클 수밖에 없는 상황인 셈이다.
다만 한국을 비롯해 체코에서도 정부 인사들은 최종 계약 체결을 위한 협상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7일 루카쉬 블첵 체코 산업부 장관과 만나 “체코 두코바니 신규원전 건설의 최종 계약을 원활히 체결해 그동안 긴밀했던 양국 관계를 완전히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해 나가자”고 말했다.
루카쉬 블첵 장관은 이날 “한국이 지난 5개월 동안 원전 프로젝트와 관련해 밤낮으로 많은 노력을 해왔다”며 “계획된 일정에 따라 상호 수용 가능한 계약에 도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