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충격파 반도체로 확산 피하나, 실제 효과와 부작용에 회의론 부각

▲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반도체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만 TSMC 반도체 생산공장 내부 참고용 사진.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트럼프 정부가 여러 국가와 품목을 대상으로 수입관세 인상을 본격화하고 있지만 반도체 업계에 영향을 미칠 범위는 크지 않다는 전망이 나왔다.

반도체 특성상 주로 완제품에 탑재되기 때문에 효과가 불분명하고 미국 소비자와 기업에도 타격을 입히는 부작용을 낳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투자전문지 배런스는 4일 “반도체주 투자자들이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에 우려를 키우고 있지만 단기적으로 미칠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정부는 중국산 수입품에 10%의 관세 부과를 확정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물품에는 최고 25%의 관세가 예고됐다.

배런스는 증권사 번스타인 보고서를 인용해 “미국이 중국이나 캐나다, 멕시코에서 사들이는 반도체 물량은 극히 일부에 그친다”고 전했다.

미국 전체 연간 수입액에서 세 국가가 차지하는 금액은 1조3천억 달러(약 1902조 원)에 이르지만 이 가운데 반도체는 70억 달러(약 10조 원)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번스타인은 대다수의 반도체가 완제품에 탑재된 형태로 미국에 수입되는 만큼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이번에 결정된 관세 정책이 반도체 업계에 직접적으로 미칠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에 직접 수입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한 만큼 대만에서 제조되는 TSMC 시스템반도체에 세금이 매겨질 가능성도 고개를 든다.

그러나 배런스는 전 세계 첨단 미세공정 반도체의 약 90%가 대만에서 생산되는 만큼 이는 미국 기업과 소비자에 모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바라봤다.

미국 정부가 반도체에 실제로 수입관세를 부과하는 일은 자충수에 불과할 수 있다는 의미다.

배런스는 “트럼프 정부가 반도체에 직접 관세를 매길 지 여부는 지켜봐야 할 문제”라며 “하지만 아직까지는 크게 걱정할 일이 없어 보인다”고 결론지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