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하이닉스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회사는 메모리 반도체의 가파른 가격 상승에 힘입어 실적 개선세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됐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5일 SK하이닉스 목표주가를 기존 21만 원에서 24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4일 SK하이닉스 주가는 18만8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2024년 D램과 낸드플래시의 평균판매가격(ASP) 추정치를 각각 전년대비 73.6%, 45.6%로 상향했다”며 “이에 따라 2024년과 2025년 순이익을 각각 12.9%, 20.8% 상향한 9조9천억 원, 15조8천억 원으로 수정했다”고 말했다.
회사는 2024년 D램과 낸드플래시 영업이익이 각각 15조 원, 1조 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영업이익은 16조1천억 원으로 지난해 7조7천억 원 영업손실에서 약 24조 원의 손익 개선이 예상된다.
D램은 전체 매출의 23%를 차지하는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시장우위가 지속되고, 낸드플래시는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SSD) 수요 급증으로 2분기에 2년 만에 흑자전환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 연구원은 “SK하이닉스 주가는 2023년 초 대비 148% 상승했으나 탄력적 실적 개선이 이제 시작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 시점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김바램 기자
회사는 메모리 반도체의 가파른 가격 상승에 힘입어 실적 개선세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됐다.

▲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5일 SK하이닉스의 D램과 낸드플래시의 평균판매가격(ASP) 추정치를 각각 전년대비 73.6%, 45.6%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5일 SK하이닉스 목표주가를 기존 21만 원에서 24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4일 SK하이닉스 주가는 18만8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2024년 D램과 낸드플래시의 평균판매가격(ASP) 추정치를 각각 전년대비 73.6%, 45.6%로 상향했다”며 “이에 따라 2024년과 2025년 순이익을 각각 12.9%, 20.8% 상향한 9조9천억 원, 15조8천억 원으로 수정했다”고 말했다.
회사는 2024년 D램과 낸드플래시 영업이익이 각각 15조 원, 1조 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영업이익은 16조1천억 원으로 지난해 7조7천억 원 영업손실에서 약 24조 원의 손익 개선이 예상된다.
D램은 전체 매출의 23%를 차지하는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시장우위가 지속되고, 낸드플래시는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SSD) 수요 급증으로 2분기에 2년 만에 흑자전환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 연구원은 “SK하이닉스 주가는 2023년 초 대비 148% 상승했으나 탄력적 실적 개선이 이제 시작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 시점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김바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