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12년 만에 파업에 돌입했다.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28일 오전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의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협상결렬로 인해 서울버스는 이날 오전 4시를 기점으로 총파업에 들어갔다. 서울 버스가 멈춰선것은 2012년 뒤 12년 만이다.
노사는 전날에도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조정 회의를 열었지만 11시간이 넘는 협상과정이 있었음에도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노사의 협상이 불발되면서 노조는 오전 4시를 기점으로 총파업에 들어갔다.
다만 파업 돌입 후에도 실무진 간 물밑 대화는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노사 협상의 핵심 쟁점은 ‘임금’이다.
노조는 12.7% 시급 인상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최근 5년의 물가상승률·임금인상률과 비교하면 과도하다는 입장이다. 서울지방노동위원회가 6.1% 인상안을 제시했으나 중재에는 실패했다.
서울시버스노조는 지난 26일 파업 찬반 투표에서 88.5% 찬성률로 파업안이 가결된 바 있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에는 65개 회사가 참여하고 있는데 이번 파업에 참여할 수 있는 단체교섭 대상이 되는 회사는 61개로 알려졌다. 이에 전체 서울시 시내버스 7382대의 97.6%에 해당하는 7210대가 운행을 멈췄다.
서울시는 노조 파업에 따른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비상수송대책 가동에 들어갔다. 지하철 운행을 연장하고 증편하는 등 출퇴근길 대체 교통수단을 즉시 투입하기로 했다.
지하철은 출퇴근 혼잡 완화 및 불편 해소를 위해 1일 총 202회를 늘려 운영한다. 막차 시간은 오전 1시에서 2시로 연장 운영한다. 서울 25개 자치구에서는 무료 셔틀버스도 운행한다. 이준희 기자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28일 오전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의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협상결렬로 인해 서울버스는 이날 오전 4시를 기점으로 총파업에 들어갔다. 서울 버스가 멈춰선것은 2012년 뒤 12년 만이다.

▲ 서울 시내버스 노조의 총파업을 하루 앞둔 27일 서울 시내의 한 공영차고지에 버스가 주차돼있다. <연합뉴스>
노사는 전날에도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조정 회의를 열었지만 11시간이 넘는 협상과정이 있었음에도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노사의 협상이 불발되면서 노조는 오전 4시를 기점으로 총파업에 들어갔다.
다만 파업 돌입 후에도 실무진 간 물밑 대화는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노사 협상의 핵심 쟁점은 ‘임금’이다.
노조는 12.7% 시급 인상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최근 5년의 물가상승률·임금인상률과 비교하면 과도하다는 입장이다. 서울지방노동위원회가 6.1% 인상안을 제시했으나 중재에는 실패했다.
서울시버스노조는 지난 26일 파업 찬반 투표에서 88.5% 찬성률로 파업안이 가결된 바 있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에는 65개 회사가 참여하고 있는데 이번 파업에 참여할 수 있는 단체교섭 대상이 되는 회사는 61개로 알려졌다. 이에 전체 서울시 시내버스 7382대의 97.6%에 해당하는 7210대가 운행을 멈췄다.
서울시는 노조 파업에 따른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비상수송대책 가동에 들어갔다. 지하철 운행을 연장하고 증편하는 등 출퇴근길 대체 교통수단을 즉시 투입하기로 했다.
지하철은 출퇴근 혼잡 완화 및 불편 해소를 위해 1일 총 202회를 늘려 운영한다. 막차 시간은 오전 1시에서 2시로 연장 운영한다. 서울 25개 자치구에서는 무료 셔틀버스도 운행한다. 이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