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리바트가 1분기에 영업 손실 76억 원을 내며 적자 전환했다.
가정용 가구 사업 등이 부진한 탓이다.
현대리바트는 11일 1분기에 연결 기준 매출 3702억1900만 원, 영업손실 76억500만 원을 거뒀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1분기에 비해 매출은 15억원(0.4%)이 늘고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작년 1분기 매출은 3687억5500만 원, 영업이익은 29억1600만 원이다.
부문별로 보면 국내 가구 사업 매출은 2331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 2263억 원에 비해 3% 증가했다.
기업 간 거래(B2B) 매출은 1154억 원으로 13.3% 늘었다. 빌트인(6.5%)·오피스(30.8%)·선박(12.7%) 등 B2B 가구 전반에 걸쳐 매출이 증가했다.
다만 기업 소비자 간 거래(B2C) 매출은 770억 원으로 작년보다 12.7% 줄면서 부진했다. B2C 가정용 가구 매출은 8.4% 줄고 주방·바스·건자재 등 집테리어 매출도 26.7% 감소했다.
이외 국내 기업 간 거래(B2B) 사업 매출은 1311억 원으로 작년 1분기 1350억 원에 비해 38억 원(2.8%)이 줄었다. 해외 가설 공사 매출은 277억 원에서 382억 원으로 106억원(38.2%)이 늘었지만 자재 사업은 25.7% 줄었다.
해외 법인 1분기 매출은 60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 75억 원에 비해 15억 원(19.9%) 감소했다.
현대리바트는 "작년(2022년)에 중대형 입점 매장 위주로 토탈 인테리어 매장을 열었다"며 "향후엔 이런 기존 고객 접점을 안정화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라고 했다. 이어 "기존 해외 가설 공사 현장, 빌트인 가구 원가율 개선 등 지난해 부진한 부문 등을 개선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호영 기자
가정용 가구 사업 등이 부진한 탓이다.

▲ 현대리바트가 1분기에 적자 전환했다.
현대리바트는 11일 1분기에 연결 기준 매출 3702억1900만 원, 영업손실 76억500만 원을 거뒀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1분기에 비해 매출은 15억원(0.4%)이 늘고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작년 1분기 매출은 3687억5500만 원, 영업이익은 29억1600만 원이다.
부문별로 보면 국내 가구 사업 매출은 2331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 2263억 원에 비해 3% 증가했다.
기업 간 거래(B2B) 매출은 1154억 원으로 13.3% 늘었다. 빌트인(6.5%)·오피스(30.8%)·선박(12.7%) 등 B2B 가구 전반에 걸쳐 매출이 증가했다.
다만 기업 소비자 간 거래(B2C) 매출은 770억 원으로 작년보다 12.7% 줄면서 부진했다. B2C 가정용 가구 매출은 8.4% 줄고 주방·바스·건자재 등 집테리어 매출도 26.7% 감소했다.
이외 국내 기업 간 거래(B2B) 사업 매출은 1311억 원으로 작년 1분기 1350억 원에 비해 38억 원(2.8%)이 줄었다. 해외 가설 공사 매출은 277억 원에서 382억 원으로 106억원(38.2%)이 늘었지만 자재 사업은 25.7% 줄었다.
해외 법인 1분기 매출은 60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 75억 원에 비해 15억 원(19.9%) 감소했다.
현대리바트는 "작년(2022년)에 중대형 입점 매장 위주로 토탈 인테리어 매장을 열었다"며 "향후엔 이런 기존 고객 접점을 안정화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라고 했다. 이어 "기존 해외 가설 공사 현장, 빌트인 가구 원가율 개선 등 지난해 부진한 부문 등을 개선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호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