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병현 기자 naforce@businesspost.co.kr2022-11-10 15:11:17
확대축소
공유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뉴삼성‘ 시대를 맞아 주주환원 정책을 더 강화할 것이라는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재용 회장은 당분간 현재의 삼성그룹 지배구조 아래서 외부조력을 통해 최대주주 일가의 지배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주주가치를 더욱 개선할 필요가 있다.
▲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뉴삼성‘ 시대를 맞아 특별배당 등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약 128조 원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2020년처럼 ‘특별배당’ 지급을 검토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1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취임을 맞아 이르면 올해 말 새로운 주주환원 정책을 내놓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선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 주가의 핵심 요소는 결국 주주환원 정책”이라며 “불확실한 합병 시너지에 대한 기대보다는 주주환원을 통한 주가 부양이 투자자 및 새로운 경영 체계 모두에 긍정적인 만큼 올해 4분기 추가 주주환원 정책을 기대해 볼만 하다”고 전망했다.
삼성전자는 2018~2020년 3개년 주주환원 정책으로 잉여현금흐름의 50%를 배당으로 지급했다. 이에 따라 2020년 10조7천억 원을 추가로 활용해 1932원의 특별배당을 포함한 2994원(연배당)의 1주당 현금배당을 실시했다.
2021년에는 특별배당 없이 보통주 1주당 1444원을 지급했다.
하지만 이재용 회장의 승진으로 새로운 리더십 아래 주주가치를 높일 필요가 커지면서 기존 주주환원 정책에 변화가 생길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재용 회장은 삼성전자 지분을 1.64%밖에 보유하지 않고 있다. 사실상 삼성물산과 삼성생명을 통해 삼성전자를 간접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만큼 현재의 지배구조 체제에서는 외부 투자자들의 조력이 필수적이다.
이 회장이 외부 투자자의 지지를 받기 위해서는 주주환원 강화, 인수합병(M&A)을 통해 삼성전자 기업가치를 높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약 128조 원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활용할 수 있다.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현재의 지배구조 체제에서 외부 투자자의 지지를 끌어내기 위해 주주환원 정책을 더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인수합병을 성사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만큼 우선 특별배당 등을 통한 주주환원에 초점을 맞출 공산이 크다.
삼성전자는 영국 반도체기업 ARM 등의 인수를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가격이나 각국 규제 당국의 승인 등을 고려했을 때 실현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게다가 삼성전자의 주력사업인 반도체 업황이 악화되면서 2023년 상반기까지는 실적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인 만큼 당장은 대규모 인수를 추진하기 부담스러울 수 있다.
더구나 삼성전자의 배당은 이재용 회장 등 삼성 오너가의 주요 상속세 납부에 필요한 재원이기도 하다.
이재용 회장이 납부해야 할 상속세는 2조9천억 원으로 이미 납부한 9667억 원을 제외하면 잔여 상속세가 1조9333억 원에 이른다.
이 회장이 2021년 삼성전자, 삼성물산 등 계열사에서 배당금으로 3434억 원을 수령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5년 이상의 배당금을 모두 상속세로 내야 하는 셈이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특별배당을 지급하거나 배당성향을 상향 조정한다면 상속세 납부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회장이 지분 17.97%를 보유하고 있는 삼성물산도 삼성전자로부터 배당금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가 배당금을 늘렸을 때 이 회장이 삼성물산으로부터 받는 배당금도 증가하는 구조다.
이 회장은 삼성전자와 삼성물산으로부터만 매해 거의 2800억 원의 배당금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의 현금배당성향은 2020년 78%에서 2021년 25%로 53%포인트 낮아졌는데 이는 같은 기간 순이익은 급증한 반면 특별배당을 지급하지 않아 배당금이 큰 폭으로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올해는 삼성전자의 배당성향이 다시 상향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최남곤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지배 구조 관점에서 삼성그룹이 취할 수 있는 선택지는 현재의 그룹 지배 구조를 유지하면서 이사회 구성과 관련해서는 외부 조력을 통해 최대주주 일가의 지배력을 유지하는 방향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며 “지배구조 개편보다는 주주가치 개선이 최적의 대안”이라고 분석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