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배터리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23일 ‘2025 리튬이온전지 실리콘 음극재 기술현황 및 시장전망’ 보고서에서 실리콘 음극재 시장이 지난해 약 2만6천 톤에서 2035년 29만5천 톤으로 10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기간 세계 실리콘 음극재 시장은 연 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SNE리서치 "2035년 실리콘 음극재 시장 10배 이상 커진다", 연평균 30% 이상 성장 전망

▲ 리튬이온전지 실리콘 음극재 시장 전망. < SNE리서치 >


전체 음극재 시장에서 실리콘 음극재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1.3%에서 2030년 4%, 2035년 6%에 이르고, 시장 규모도 2023년 6억 달러(9천억 원)에서 2035년 70억 달러(9조7천억 원)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저가 배터리 사용 추세가 이어지면서 음극재 소재에도 저가 흑연이 강세를 보이며, 실리콘 음극재 사용은 다소 주춤했다.

하지만 향후 고성능, 고사양 배터리 제품에 대한 수요가 회복하며 실리콘 음극재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회사는 내다봤다.

흑연은 중국 의존도가 높아 탈중국화를 노리는 기업에 실리콘 음극재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퓨처엠,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등 국내 배터리 기업을 비롯해 중국과 일본, 미국, 유럽의 다양한 기업들이 실리콘 음극재를 개발하고 있다. 

기존 흑연 음극재 시장을 주도하던 중국의 베이터뤼와 샨샨, 즈천과기 등도 대규모 실리콘 음극재 생산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SNE리서치 측은 “실리콘 음극재는 기존 흑연 음극재보다 에너지 밀도를 크게 높일 수 있고, 충전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어 차세대 소재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며 “실리콘 함량을 높여 에너지 밀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며, 실리콘 팽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