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Who] 김정은, 문재인에게 북한 경제발전 '열망'을 숨기지 않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0일 백두산 정상에 함께 올랐다. <연합뉴스>

"발전된 다른 나라들에 비하면 우리 평양은 초라하다." “비록 수준이 낮을지 몰라도 최대한 성의의 마음을 보인 숙소고 일정이니 우리 마음으로 받아주면 좋겠다.”

평양 남북 정상회담 내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이런 말로 북한의 어려운 경제사정을 굳이 숨기지 않았다.

바깥 세상을 잘 알고있는 젊은 리더로서 북한을 '잘사는 나라'로 만들겠다는 경제 발전의 열망을 함께 보인 셈이다.

20일 김정은 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을 백두산 천지로 안내해 남한의 백두산 관광을 두고 얘기를 나눴다. 김 위원장은 매번 정상회담 마다 북한의 사정을 얘기하고 경협의 실마리를 흘리는 화법을 구사해왔다. 

4.27 판문점 정상회담 때는 “문 대통령이 도로로 오시면 솔직히 우리 쪽 교통이 불편을 드릴 것 같다. 평창 올림픽에 갔다온 분들이 평창 고속열차가 다 좋다고 하더라”며 열악한 북한의 도로 사정을 털어놓기도 했다.

이런 김정은의 파격적 발언은 경제적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뜻이 담겨있는 분석이 나온다. 
대한법정신의학회 이사를 지낸 조성남 강남을지병원장은 김 위원장이 솔직한 성격인 것도 있지만 결국 반대급부를 얻으려는 것이라며 경제적 고충을 드러내 신속한 도움을 얻으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트로이 스탠거론 한미경제연구소 선임국장은 19일 미국의소리(VOA)와 인터뷰에서 “대북제재 결의 2375호에는 ‘비상업적 공공기반시설’의 대북 제재 면제조항이 있다”며 “(평양 공동선언을 보면) 남북은 철도 협력사업이 이에 해당한다고 보는 것 같다”고 바라봤다.

평양을 방문한 경제인들을 양묘장에 부른 데서도 이런 뜻은 엿보인다. 19일 남한 경제인들은 양묘장으로 안내돼 시설을 시찰했다. 이 양묘장은 2016년 5월 김 위원장의 지시로 만들어졌는데  묘목을 대량으로 키우는 곳이다.

유엔이 정한 대북경제제재에는 환경분야가 제외대상으로 규정돼 있다. 산림과 직접적 연관을 가진 양묘장을 공개한 것은 환경분야의 지원을 염두에 둔 것일 수 있다.

신율 명지대 정치학과 교수는 “(산림과 관련한 경제적 원조가) 오히려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보다 대북제재에 걸릴 가능성이 적을 것”이라며 “(김 위원장이) 어떤 의도가 있기 때문에 경제인들을 양묘장으로 불렀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경제 발전에 집중하고 있다는 증거는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9·9절 열병식 개막사에도 확인됐다.

김 상임위원장은 “우리 인민은 제국주의의 노예가 되지 않고 고난과 행군 같은 처절한 시련도 겪지 않으며 가장 존엄 높고 행복한 생활을 누릴 수 있는 확고한 담보를 가지게 됐다”고 말했다. 경제발전을 이뤄 국민 삶의 수준을 높이겠다는 김 위원장의 의중을 대변한 셈이다.

김 위원장이 평양 남북 정상회담에서 내부의 반대를 물리치고 서울을 방문하겠다고 결정한 것도 북한 경제 발전을 위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권율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신남방경제실 선임연구위원은 YTN라디오와 인터뷰에서 “북한은 4월20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계기로 ‘핵경제 병진건설 노선’의 종료를 공식 선언하고 경제건설 총력노선으로 전환을 천명했다”며 “북한의 개방 속도나 순서를 고려해 우리가 여러 가지 면에서 검토해야 할 사안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