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주가의 단기 변동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의 순환출자 가이드라인 개정 논의 등의 이슈가 있지만 지켜볼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한이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18일 “공정위의 가이드라인 개정 논의에 따라 삼성SDI가 삼성물산 주식 404만여 주를 처분할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현 시점에서는 이보다 개정 여부를 지켜볼 필요성이 높은 데다 법안의 소급적용 역시 쉽지 않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바라봤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순환출자 가이드라인은 공정위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으로 삼성그룹의 기존 순환출자 고리가 강화되자 만들어졌는데 합병 당시 공정위가 삼성SDI가 보유한 삼성물산 주식 500만 주를 처분하게끔 결론을 내리도록 한 근거가 됐다.
‘통합삼성물산→삼성전자→삼성SDI→삼성물산’으로 이어지는 순환출자 고리가 이전보다 강화됐다고 판단해 합병에 따른 추가 출자분(500만주)만큼 매각하라고 한 것이다.
공정위가 당시 삼성SDI에게 처분하도록 할 주식 수를 900만 주로 정했지만 청와대 등의 외압으로 500만 주로 줄어들었다는 특검 결과가 나온 만큼 이를 다시 따져보기로 했다.
이 연구원은 “공정위는 특정기업의 처분대상 주식 수를 재산정하기 위해 제도를 손보는 것이 아니라고 언급했지만 삼성물산에 소급적용될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개정 및 소급적용 절차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바라봤다.
삼성물산이 보유한 한화종합화학 지분 20.05%를 매각하기로 한 점도 단기 주가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배당확대와 함께 삼성물산으로 유입되는 현금이 늘어난다는 점에서 중장기적으로 긍정적 요인”이라며 “다만 과거처럼 지배구조 및 승계 시나리오 논의가 활발하지 않은 상황에서 주가 민감도 역시 낮아졌다”고 파악했다.
이 연구원은 “삼성물산 주식을 매입할 경우 본업 실적과 현금 유입규모에 따른 중장기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단기적으로 삼성전자와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보유지분 가치의 변화를 점검하며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
김한이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18일 “공정위의 가이드라인 개정 논의에 따라 삼성SDI가 삼성물산 주식 404만여 주를 처분할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현 시점에서는 이보다 개정 여부를 지켜볼 필요성이 높은 데다 법안의 소급적용 역시 쉽지 않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바라봤다.
!["삼성물산 주가, 공정위 순환출자 개정 논의 영향 제한적"](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1712/20171218082205.jpg)
▲ 최치훈 삼성물산 사장.
공정거래위원회의 순환출자 가이드라인은 공정위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으로 삼성그룹의 기존 순환출자 고리가 강화되자 만들어졌는데 합병 당시 공정위가 삼성SDI가 보유한 삼성물산 주식 500만 주를 처분하게끔 결론을 내리도록 한 근거가 됐다.
‘통합삼성물산→삼성전자→삼성SDI→삼성물산’으로 이어지는 순환출자 고리가 이전보다 강화됐다고 판단해 합병에 따른 추가 출자분(500만주)만큼 매각하라고 한 것이다.
공정위가 당시 삼성SDI에게 처분하도록 할 주식 수를 900만 주로 정했지만 청와대 등의 외압으로 500만 주로 줄어들었다는 특검 결과가 나온 만큼 이를 다시 따져보기로 했다.
이 연구원은 “공정위는 특정기업의 처분대상 주식 수를 재산정하기 위해 제도를 손보는 것이 아니라고 언급했지만 삼성물산에 소급적용될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개정 및 소급적용 절차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바라봤다.
삼성물산이 보유한 한화종합화학 지분 20.05%를 매각하기로 한 점도 단기 주가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배당확대와 함께 삼성물산으로 유입되는 현금이 늘어난다는 점에서 중장기적으로 긍정적 요인”이라며 “다만 과거처럼 지배구조 및 승계 시나리오 논의가 활발하지 않은 상황에서 주가 민감도 역시 낮아졌다”고 파악했다.
이 연구원은 “삼성물산 주식을 매입할 경우 본업 실적과 현금 유입규모에 따른 중장기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단기적으로 삼성전자와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보유지분 가치의 변화를 점검하며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