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비리와 관련한 신동빈 회장 1심 재판의 선고공판이 22일 열린다.

롯데그룹은 신동빈 회장과 황각규 롯데지주 사장이 모두 실형을 선고받아 법정구속되는 경우는 없어야 한다며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신동빈 법정구속은 피해야 한다", 롯데 긴장감 높아져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10월25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롯데그룹 오너일가 경영비리' 39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뉴시스>


19일 롯데그룹에 따르면 신동빈 회장의 선고공판이 다가오면서 재판부가 롯데그룹의 경영공백이나 경제에 미칠 가능성 등을 고려해 줄 것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

검찰은 10월 말 롯데그룹 비리와 관련해 징역 10년에 벌금 3천억 원을 구형했다.

롯데그룹은 신동빈 회장이 신격호 명예회장의 지시에 소극적으로 따랐을 뿐이라는 롯데그룹의 주장을 재판부가 받아들일 수 있다는 실낱같은 희망도 걸고 있다.

최악의 경우 법정구속만은 피해야 한다고 본다. 롯데그룹에서 신동빈 회장의 존재감이 크고 신 회장에 대한 의존도도 높다는 점을 고려해 재판부가 법정구속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기대한다.

실제로 신 회장이 부재할 경우 롯데그룹은 계열사 상장뿐만 아니라 인수합병, 해외사업 등 중장기 사업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수 있다.

과거 대기업 총수들은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더라도 경제에 미치는 영향, 경영공백 등이 고려돼 법정구속을 피해왔다. 그러나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각각 2012년과 2013년 1심에서 모두 징역 4년을 선고받고 바로 형 집행에 들어갔다.

재판부가 최근 들어 대기업 총수에게 엄격한 양형 잣대를 들이대고 있다는 점은 롯데그룹에게 큰 부담이다.

신 회장이 법정구속되는 사태가 발생할 경우 롯데그룹은 황각규 사장을 중심으로 비상경영체제가 꾸려질 것으로 보인다.

황각규 사장은 신 회장과 함께 롯데지주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황 사장은 신 회장의 최측근이자 롯데그룹에서 2인자로 통한다. 지금은 재판으로 바쁜 신 회장을 대신해 대외활동에 주로 참석하며 롯데그룹의 얼굴역할을 하고 있지만 신 회장이 부재할 경우 롯데그룹의 안살림을 책임질 것으로 보인다.

황 사장은 ‘신동빈의 브레인’ 등으로 불리는 전략가인 만큼 롯데그룹의 지배구조개편작업과 인수합병 등에서 신 회장의 공백을 최소화하는 데 힘쓸 것으로 전망된다.

이재혁 식품BU장, 이원준 유통BU장, 허수영 화학BU장, 송용덕 호텔 및 기타BU장 등 4명의 BU장과 롯데지주의 역할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롯데지주는 가치경영실, 재무혁신실, HR혁신실, 커뮤니케이션실, 준법경영실, 경영개선실 등 모두 6개 실로 구성된다. 이봉철 부사장이 재무혁신실장을, 임병연 부사장이 가치경영실장을, 오성엽 부사장이 커뮤니케이션실장을, 윤종민 사장이 HR혁신실장을 맡고 있다.

이 가운데 이봉철 부사장은 롯데지주 사내이사도 맡고 있다.

최악의 경우 신 회장과 황 사장이 동시에 법정구속될 수도 있지만 그럴 가능성이 그리 높지 않다고 재계는 바라본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재판부로서는 국내 5위의 롯데그룹이 완전한 리더십 공백을 맞는 사태가 오는 게 부담스러울 수 있다”며 “두 사람이 모두 실형을 선고받을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삼성그룹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구속기소돼 구속된 상태에서 재판을 받았지만 최지성 전 미래전략실장은 불구속 상태로 재판을 받았다. 최 전 실장은 삼성그룹을 완전히 떠난 뒤 8월 법정구속됐다.

당시 특검이 이재용 부회장을 놓고 2차례나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도 최 전 실장을 놓고 불구속 수사를 이어간 이유로 삼성그룹 경영공백에 대한 안팎의 우려를 감안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신 회장과 황 사장 외에 채정병 전 롯데카드 대표, 소진세 롯데그룹 사회공헌위원장(사장), 강현구 전 롯데홈쇼핑 대표도 각각 징역 5년을 구형받았다.

채 전 대표와 강 전 대표는 이미 현직에서 물러났고 소진세 사장 역시 경영일선에서 한발 물러나 그룹의 사회공헌활동을 이끌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