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영자총협회가 새 상근부회장 자리를 놓고 강경한 카드를 선택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등의 사안에서 노동계와 경영계는 갈등을 빚어왔다. 이번 상근부회장 교체로 대립이 더욱 격렬해질 가능성이 커졌다.
 
[오늘Who] 경총의 선택 '강골' 김용근, 사회적대화 복원 '가시밭길'

김용근 한국경영자총협회 상근부회장.


정부가 시도하고 있는 사회적 대화 복원 역시 더욱 녹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2일 새로 선임된 김용근 경총 상근부회장은 전임인 송영중 전 부회장처럼 관료 출신이지만 성향은 정반대다.

송 전 부회장은 고용노동부 출신으로 친노동 성향을 띠었다. 이는 재계를 대변하는 단체인 경총 부회장에서 조기에 물러나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김 부회장은 산업부 출신으로 친기업성향이 강한 편이다. 송 전 부회장으로 한 차례 내홍을 겪은 경총이 김 부회장을 선임한 이유도 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김 부회장은 제23회 행시 출신으로 상공부 통상정책과, 주제네바대표부 참사관 등을 지낸 통상전문가다. 산업자원부 산업정책과장, 산업정책국장, 산업정책본부장 등을 두루 거쳐 산업정책에도 밝다.

또 2013년부터는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을 맡고 있다. 업계는 물론 정부와도 두루 소통하면서 직무를 잘 수행해 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김 부회장은 노사 문제에서 비교적 강경한 시각을 보이고 있다. 그는 자동차산업협회 회장 시절 언론 기고와 인터뷰 등을 통해 자동차업계의 경쟁력이 대립적 노사관계에 발목 잡혀 있다는 의견을 지속적으로 제기했다.

김 부회장은 대립적 노사관계의 원인을 주로 노조 쪽에서 찾으며 협력적 노사관계로 가기 위해 노조가 양보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노사협상을 3~4년 주기로 바꾸고 인건비 인상률을 2% 이내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파견근로와 기간제근로, 아웃소싱, 전환배치 등을 통해 노동 유연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나타냈다.

김 부회장이 한국GM 사태의 원인을 노조와 노동 생산성에서 찾은 데서도 이런 인식이 잘 드러난다.

그는 언론 인터뷰에서 “한국GM 임금은 평균 8700만 원 수준인데 단가가 낮은 차를 생산하면서 인건비가 너무 높다”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 본사는 4년 단위로 임금협상을 하는데 우리는 매년 임금협상을 해 소모적”이라며 “우리는 시간외 수당도 너무 많고 노동 유연성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이런 인식은 경영계와는 잘 부합하는 것일 수 있으나 노동계와는 갈등의 소지가 될 수 있는 부분이다.

자동차산업협회는 업계를 대표하는 단체로 노동계와 접점은 드물었으나 경총은 경영계를 대표하는 단체로 사회적 대화의 한 축을 담당한다. 김 부회장이 이전처럼 강경한 목소리를 낸다면 노사 대화가 순조로이 진행되기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김 부회장은 경총 상임부회장으로서 이전부터 품었던 신념을 구체화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그는 선임 후 최우선 과제로 노사 문제 해결을 꼽으며 “대립적 노사관계를 협력적 노사관계로 풀어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