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경남도지사가 지방정부, 기관, 기업 등과 연계해 지역 대학에서 지역인재를 육성하는데 속도를 낸다. 

인재를 키우고 연구개발(R&D)시설의 유치를 통해 인프라를 만들어 궁극적으로 경남도의 경제를 살릴 수 있는 '동남권 메가시티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김경수, 경남 지역경제 살릴 뿌리를 지역인재 양성에서 찾다

김경수 경남도지사.


13일 경남도에 따르면 ‘지방정부-대학 기반 지역혁신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담팀(TFT) 및 워킹그룹‘을 통해 지역대학의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발전을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지원하고 있다. 

이 사업은 교육부의 2020년 시범사업으로 지역대학이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의 경제를 발전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를 두고 있다. 

이 사업에서는 지방정부가 대학 등과 연계해 지역의 발전계획을 스스로 수립해 시행하는 방식이다. 중앙정부는 계획협의 및 다년도 재정지원 형식으로 지원한다.

경남도는 이를 위해 도내 대학과 각 연구기관, 기업, 경남도청 관련부서를 아우르는 전담팀(TF)을 구성했다. 그 아래에는 총괄계획서를 집필하는 워킹그룹을 두기로 했다.

워킹그룹은 지역대학이 지역경제를 활성화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 조직으로 경남도의 인구분포, 산업분포, 기업과 연구기관의 수요 등을 반영한 총괄계획서를 수립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통해 대학교육이 지역산업과 지역공헌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김 지사는 대학교육을 지원하는 데 더해 경남도에 연구개발(R&D) 시설을 유치해 인프라를 구축하고 인재를 끌어오는 선순환 플랫폼의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 경남도는 ‘마산로봇랜드’의 문을 열었다. 또 ‘자동차부품연구원’과 ‘전자부품연구원 동남권본부’도 경남도에 설립이 확정됐다. 

최근 창원·진주·김해 3곳이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기도 했다. 

김 지사가 이런 시도를 지속하고 있는 것은 인재 유치와 인프라 구축을 통해 수도권 집중 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부산울산경남을 아우르는 동남권 메가시티를 만들기 위해서다. 

김 지사는 경남경제가 위기에 처한 것으로 지역인재들이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몰려가고 이에 따라 기업의 지역유치도 어려워지고 있는 점을 꼽고 있다.

김 지사는 12일 메디치포럼에서 올해 초 SK하이닉스가 입지를 정할 때 경북 구미가 아니라 경기 용인을 선택한 것을 두고 "SK하이닉스가 (수도권이 아니면) 원하는 사람을 뽑을 수 없기 때문에 구미가 막대한 규모로 지원하겠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용인으로 선택했다"고 말했다.

그는 "수도권은 서울에서 경기인천, 강원 충남북까지 확대돼 수도권만 2500만 명"이라며 "수도권이 플랫폼이 되면서 종합적 기능이 모여있으며 이것이 플랫폼 효과"라고 덧붙였다.

김 지사가 지역의 경쟁력 저하를 ‘동남권 메가시티 플랫폼’ 구축을 통해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 플랫폼은 지역에서 인재를 육성하고 기업을 끌어오는 한편 인프라를 구축해 인재가 다시 몰려올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말한다. 

김 지사는 수도권이 모든 것을 빨아들이고 있는 ‘수도권 블랙홀 현상’에 대응해 경남도에서도 초광역권 협력사업이 필요하며 지역인재 양성에서도 이런 협업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