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 구글 메타 AI반도체 협력에 브로드컴 수혜, 미즈호증권 "엔비디아 위협하기엔 한계"
- 구글이 자체 설계한 텐서프로세서(TPU) 인공지능 반도체를 메타에 공급하면 협력사인 브로드컴에 수혜가 돌아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다만 구글이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에서 선두 기업인 엔비디아의 지위를 위협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평가가 이어졌다.미즈호증권이 보고서를 내고 "브로드컴이 인공지능 반도체 최선호주지만 엔비디아에 낙관적 시각을 유지한다"고 전했다고 투자전문지 인베스팅닷컴이 26일 보도했다.브로드컴은 구글을 비롯한 빅테크 기업의 자체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를 돕는 핵심 협력사다. 이들이 엔비디아에 의존을 낮추는 데 기여한다.구글은 최근 자체 인공지능 반도체 개발에 뛰어난 성과를 내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이를 자체 데이터센터와 슈퍼컴퓨터에 사용하는 것을 넘어 메타에 공급하는 방안도 추진된다.미즈호증권은 메타가 2027년부터 데이터센터에 구글 프로세서를 대거 도입하며 수십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내다봤다.이는 자연히 브로드컴에 직접적 수혜로 돌아올 수 있다는 전망이 이어졌다.다만 브로드컴이 선두 기업인 엔비디아의 시장 지배력을 위협할 정도까지 성장하기는 한계가 있다는 관측도 제시됐다.미즈호증권은 "엔비디아는 클라우드 기업과 각국 정부의 수요가 모두 강력해 업계 선두를 달리고 있다"며 "메타의 구글 프로세서 도입이 엔비디아를 흔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바라봤다.다만 브로드컴이 앞으로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높일 여지는 열려있다고 덧붙였다.데이터센터 건설 가속화는 마이크론을 비롯한 메모리반도체 기업에도 꾸준히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이 이어졌다.미즈호증권은 "인공지능 투자 확대 열풍이 주요 공급사 전반의 실적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