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인공지능(AI) 기반의 미래공장 로드맵을 마련하기로 했다.

‘데이터 주권론’을 앞세워 중소기업이 이용 가능한 데이터센터 구축 등을 정책과제로 제시했다.
 
박영선 “중기부, 인공지능 접목한 미래공장 로드맵 세우겠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8일 서울 여의도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취임 100일 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박 장관은 8일 서울 여의도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취임 100일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중기부가 가장 먼저 세워야 할 로드맵은 인공지능을 접목한 미래공장 로드맵”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기부가 개별 사업을 마련해 집행하는 일만 하지 말고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와 함께 신산업의 국가기반을 만드는 데 역량을 쏟아야 한다고 봤다.

앞으로 특히 힘써야 할 분야로 클라우드와 인공지능을 들었다. 클라우드는 사용자 콘텐츠를 서버에 저장했다가 스마트폰 등에 다운로드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중소기업이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을 통한 제조혁신 서비스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센터를 국가 플랫폼으로서 구축하는 방안을 향후 정책과제로 제시했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이 저장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미래상황을 예측하는 데 막대한 비용을 들여야 하는 부담을 덜어주기로 했다. 

중기부 안에 인공지능을 비롯한 신산업 관련 업무를 전담하는 조직을 신설할 방안도 세웠다.

박 장관은 “앞으로의 시대는 인공지능 데이터가 없다면 (발전이) 불가능한 만큼 데이터는 미래 권력이 될 수 있다”며 “인공지능 서비스가 발달하려면 데이터가 쌓여야 하는데 이 데이터를 누가 보유하고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아마존이나 구글 같은 글로벌 기업의 클라우드에 의존하지 않고 우리나라도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축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데이터 주권론을 심각하게 생각해야 한다”며 “우리나라의 데이터 생산량은 글로벌 5위인데 이렇게 중요한 데이터를 다른 곳에 의존하고 있는 일과 관련해 사회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일본이 한국 대상의 수출제한 조치를 100대 수출품목으로 확대할 가능성을 고려해 대응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알렸다.

그는 “중기부가 일본 무역분쟁에 관련해 주무부처는 아니지만 부품 소재의 독립을 끌어낼 수 있는 쪽은 소재를 개발하는 중소기업이자 뿌리산업을 지키는 소상공인”이라며 “부품 산업의 독립 선언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을 통해 가능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가 일본의 수출규제 강화에 대응하려면 중기부와 다른 정부 부처의 공조는 물론 대기업과 중소기업도 서로를 도우면서 연대를 더욱 튼튼하게 구성해야 한다고 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