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를 현실화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반도체 과잉재고를 소진할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양재 KTB증권 연구원은 1일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는 오히려 일본에게 자충수로 작용할 것”이라며 “이번 규제 이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과잉재고를 소진하고 생산 차질을 빌미로 가격 협상력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일본 반도체소재 수출규제는 업황 반등의 기회

▲ 김기남 삼성전자 DS부문 대표이사 부회장(왼쪽)과 이석희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


일본 산케이신문은 일본 정부가 한국 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에 따른 경제보복 조치를 1일 공식 발표하고 4일부터 불산(HF)와 포토레지스트(감광액), 투명 폴리이미드 등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핵심소재 수출 규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규제가 현실화하면 일본업체는 한국 기업에 소재를 수출할 때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심사 과정에만 90일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국내 반도체 제조회사가 소재를 조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불산은 일본 업체의 수출이 중단돼도 대만과 중국 업체로부터 조달이 가능하지만, 포토레지스트는 반도체 노광 공정에 쓰이는 소재로 일본 업체들이 주도하고 있는 시장이다. 일부 국내 업체들이 생산하고 있지만 품질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규제가 장기화하지만 않는다면 오히려 이번 이슈가 반도체 공급과잉과 가격 하락세를 해결할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일본 수입 심사기간을 견딜 수 있는 재고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인데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소재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자치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면 반대로 일본 소재업체가 받을 타격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 소재업체에도 실적 타격이 클 수밖에 없어 반발이 예상되기 때문에 일본 정부가 보도한 대로 수출규제를 실행에 옮기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규제가 현실화한다 하더라도 재고부담이 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자연스럽게 감산 결정을 내릴 빌미를 잡을 수 있어 업황 회복시점을 앞당기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예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