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는 계속 되어야 한다(The show must go on)’. 퀸의 노래 제목으로 더 유명하지만 영어숙어로  어떤 시련과 좌절, 난관이 있더라도 이를 넘어서 앞으로 계속 나아가야 한다는 뜻이다.

 2019년은 문재인 정부가 집권 3년차를 맞는다. ‘함께 잘 사는’ 공정경제와 소득주도성장을 기치로 내놓은 경제정책이 뿌리를 내리고 열매를 맺어야 하는 해다.

 급변하는 국내외 경제환경 속에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의 긴장감도 어느 때보다 크다. 주요 기업이 마주한 새해 현안을 키워드를 중심으로 짚어본다. <편집자 주>

 [1]공정경제와 혁신성장
 [2]3~4세 경영, 세대교체
 [3]성장, 사업재편
 [4]상생과 투명경영
 [5]경쟁, 지배구조
 
[신년기획] 최정우, '기업시민' 포스코 위해 투명경영 구축한다

최정우 포스코 대표이사 회장.

최정우 회장이 포스코의 ‘투명경영’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분주하다.

포스코는 과거 정권에서 부실과 비리경영으로 숱한 의혹의 대상이 됐다. 최 회장이 추구하는 대로 '기업시민'으로 바로 서려면 경영방식을 둘러싼 의구심을 씻어내야 한다.

4일 포스코에 따르면 올해 열리는 정기 주주총회에서 전자투표제를 도입하기로 하고 사외이사 역할을 넓히는 등 의사결정 과정을 투자자들과 공유하는 정책에 힘을 싣고 있다.

사외이사와 주주가 만나는 ‘사외이사 IR(기업설명회)’을 정기적으로 개최해 투자자들과 적극적 소통도 추진 중이다. 이사회 역할이나 회사 지배구조에 관한 주주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말 포스코는 창립 이래 최초로 사외이사 기업설명회를 열었다. 김주현 이사회 의장 등 사외이사 6명, 국민연금을 포함한 국내 주주 4개사, 해외 주주 7개사 대표가 자리를 함께했다. 한 시간이 넘도록 질의응답을 진행하면서 각종 현안에 관한 의견을 주고받았다.

첫 행사인 만큼 그룹미팅으로 진행됐으나 김주현 이사회 의장은 올해부터 상, 하반기에 각각 국내외 주주들을 찾아 직접 만나는 기회를 계속해서 만들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사외이사와 주주 사이의 소통 통로를 넓히고 회사의 경영철학과 의사결정 과정을 공개해 기업가치와 지배구조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이사회의 경영감독 기능을 강화하고 선진형 지배구조를 정착하기 위해 1997년 국내 대기업으로는 최초로 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했다.

그러나 정권이 바뀔 때마다 역대 회장들이 줄줄이 중도에 낙마하면서 ‘밀실행정’ 등 불투명한 경영을 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정권과 유착문제도 고질병으로 지적됐다. 최 회장이 취임할 때도 정치권 등에서 폐쇄적 인선절차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쏟아져 한 차례 홍역을 치렀다.

최 회장으로서는 경영 투명성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일 필요가 있는 셈이다. 지난해 7월 취임하자마자 창사 이래 처음으로 일반 시민에게도 ‘러브레터’를 써달라고 제안해 개혁안에 관한 의견을 들은 점 역시 이런 맥락에서 해석된다.

문재인 정부 들어 지배구조 개선과 투명 경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스튜어드십코드 도입이 본격화하면서 사외이사의 역할과 책임도 중요한 투자 포인트가 되고 있다.

최 회장은 지난해 말 100대 개혁과제를 발표하면서 기업시민 경영이념을 실천하기 위해 CEO와 사외이사,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기업시민위원회'를 이사회 산하에 설치하기도 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기업시민으로서 전략 수립에 사회 전반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최근 ‘상생’을 실천하는 데도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그는 지난해 말 사내 방송을 통해 “앞으로는 포스코가 이익을 내는 경제주체의 역할을 넘어 사회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 갈 수 있는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경제적 가치는 브랜드 가치의 상승에 따라 자연스럽게 동반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포스코 등 포스코그룹의 5개 계열사는 최근 대기업과 중소기업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7771억 원의 동반성장 지원금을 출연하기로 했다. 올해부터 포스코가 창업을 지원하는 ‘창업 인큐베이팅 스쿨’을 운영하고 포항과 광양에 ‘벤처밸리’ 조성도 추진 중이다. 

최 회장은 취임 이후 줄곧 '기업시민' 개념을 강조해왔다. 기업시민이란 개인처럼 기업에게도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일정한 권리와 책임이 주어진다는 뜻이다.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서도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세계적 종합화학회사 듀폰그룹의 회장을 역임한 채드 홀리데이는 2005년에 이미 '하버드 비즈니스리뷰'에 기고한 글에서 “10년 내로, 아니면 더 이른 시일에 우리는 사회적 책임과 지배구조 문제 등 지속가능성 요소를 경영에 얼마나 잘 적용했는지가 성공적 글로벌기업의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이라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라고 충고했다.

최 회장이 꿈꾸는 '100년 기업 포스코'의 길에 기업시민으로서 사회적 책임 완수가 중요한 숙제일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포스코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커온 만큼 이해관계자인 지역사회와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최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도 "새롭게 출범한 기업시민위원회와 기업시민실을 중심으로 기존의 사회공헌 활동들을 재편하고 '기업시민'으로서 사회적 필요에 부합하는 새로운 공헌활동들도 추진할 것"라며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가 선순환되는 사회공헌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