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신열 신세계디에프 대표이사가 신세계면세점 강남점 철수를 시작으로 추가 사업재편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 대표는 실적이 부진한 시내면세점을 중심으로 철수 또는 매장 축소를 진행하는 동시에 온라인사업을 강화해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다.
 
신세계디에프 면세점 사업재편 더 강하게, 유신열 버티기 안간힘

▲ 유신열 신세계디에프 대표이사.


28일 신세계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신세계면세점이 7월 강남점을 철수하기로 결정하면서 면세사업을 신세계의 핵심 사업으로 키우려던 전략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다.

신세계디에프는 2020년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입었고 아직까지도 회복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신세계디에프는 2020년 매출이 2019년보다 42.4%나 감소했으며 영업손실은 426억 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유 대표는 강남점 외에 명동점, 부산점 등도 손볼 것으로 보인다.

유 대표는 18일 강남점 철수를 공식화하며 “강남점 영업중단은 회사 생존을 위한 사업재편의 일환이다”며 “면세사업 전반의 체질 개선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유 대표는 강남점에 이어 부산점도 전면 재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부산점은 이미 일부 명품 브랜드가 철수하면서 올해 3월부터 축소 운영하고 있다. 부산점은 그동안 부산 센텀시티몰 지상 1층과 지하 1~2층을 운영했는데 3월부터는 지하 1층에서만 영업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간 임대료도 기존 84억 원에서 52억 원으로 줄었다.

신세계면세점 부산점은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입으며 구찌, 보테가베네타, 버버리, 불가리 등 명품 브랜드를 더 이상 유지하기 힘들어지자 사업 효율화 작업을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해외관광객이 회복될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고 있어 부산점도 강남점처럼 철수 수순을 밟을 수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부산점은 시내에 위치하고 있는데 크루즈 여행객이 줄면서 방문객이 급감했고 이번에 철수한 강남점보다도 매출이 적다. 게다가 에르메스, 샤넬, 루이비통 등 3대 명품 브랜드가 입점되지 않아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는 고객은 더욱 적다.

신세계 측에서는 강남점이나 부산점 등 면세점이 있던 공간을 백화점 매장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보복소비 효과로 국내 백화점이 호황을 누리고 있는 만큼 백화점으로 전환했을 때 수익성이 훨씬 좋아질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은 면세점과 달리 최근 2년 연속 매출 2조 원을 넘어서는 등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선전하고 있다. 신세계백화점 부산 센텀시티점도 올해 봄 세일기간 매출이 2020년보다 90% 증가하는 등 실적 개선이 두드러지고 있다.

신세계디에프 관계자는 “부산점을 축소 운영하고 강남점에서 철수하면서 약 180억 원의 임대료를 줄였다”며 “부산점 매출이 강남점보다 적은 것은 사실이지만 철수할 계획을 세우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유 대표는 온·오프라인 연계 강화에서 면세사업의 돌파구를 찾고 있다.

신세계면세점 명동점은 ‘셀렉티브샵’을 만들어 매장 내 제품 이미지를 클릭하면 신세계면세점 온라인몰로 연결돼 가격과 제품 정보 등을 확인하고 구매까지 가능하게 하는 등의 시도를 하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 방문의 장점과 온라인쇼핑의 편의성을 결합해 포스트 코로나19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움직임이다.

코로나19로 시내면세점들은 온라인 매출이 전체 매출의 50%까지 확대됐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신세계그룹에서 면세사업 자체에서 철수하려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

강남점이 문을 닫게 되면서 ‘규모의 경제’ 효과가 많이 사라졌는데 이런 움직임이 면세사업 철수를 위한 첫 단계라는 해석이다. 면세사업은 구매능력(바잉파워)을 키우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강남점에서 철수하면서 신세계면세점은 향후 명품업체를 유치하기 위한 협상에서 불리할 수 있다.

신세계디에프 관계자는 “최대한 효율적 운영을 통해 지금의 어려운 시기를 버티려는 것이지 면세점사업에서 손을 떼려는 것이 아니다”며 “명동점은 지난해 현물출자를 받아 임대료를 낼 필요가 없고 인천공항점은 기존 고정 임대료에서 매출과 연동된 품목별 영업요율로 변경돼 임대료 부담이 대폭 줄어든 만큼 면세사업이 정상화될 때까지 최대한 버틸 수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