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진흥공사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침체에 대응해 금융지원을 확대하면서 사업에 쓸 수 있는 납입자본금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21일 해양진흥공사에 따르면 해운업계를 더욱 원활하게 지원하면서 재무 건전성도 챙기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체 납입자본금을 확충하는 방안이 다각도로 검토되고 있다.  
 
해양진흥공사 해운업계 금융지원 역할 확대, 납입자본금 늘리기 골몰

▲ 황호선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


해양진흥공사가 투자보증이나 해운사의 선박 매입 이후 재임대(세일즈앤리스백) 방식 등을 통해 해운업계 지원을 확대하려면 납입자본금이 현재보다 많아야 한다는 것이다. 

해양진흥공사의 납입자본금은 5월 말 기준 2조9천억 원으로 법정자본금 한도 5조 원의 58%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2018년 6월 출범 당시 3조1천억 원과 비교해도 규모가 다소 줄었다.

반면 해양진흥공사의 해운업계 지원규모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해운업계 전반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지원에 나서야 하는 해양진흥공사의 재원 부담도 더욱 커지고 있다. 

해양진흥공사는 5월 이사회에서 회사채 매입과 세일즈앤리스백 확대 등을 바탕으로 해운업계에 전체 6600억 원 규모의 유동성을 지원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면 세일즈앤리스백 지원조건을 완화하면서 관련 사업예산도 1천억 원에서 2천억 원으로 확대했다. 

해운사가 보유한 기존 선박에 투자해 전체 1천억 원 규모의 유동성을 추가로 공급한다. 중견·중소 선사의 회사채 매입과 인수·합병기업 대상의 자금 지원 등도 시행한다.

이런 해운업계 지원책을 시행하려면 해양진흥공사도 자금을 더욱 많이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해양진흥공사가 현재 보유한 납입자본금의 상당부분이 현물 자인 점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이를 고려해 해양진흥공사는 공사채 발행 등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을 추진하고 있다. 2019년에도 무보증 공모사채 발행을 통해 전체 8200억 원 규모를 조달했다. 

다만 회사채 발행이 반영되면서 부채비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점은 해양진흥공사의 재무 건전성에 부담을 줄 수밖에 없다.

해양진흥공사는 2019년 기준 부채 1조7252억 원을 나타내 2018년 3443억 원에서 5배 이상 늘어났다. 코로나19에 따른 유동성 지원 과정에서 부채도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5월에 열린 해양진흥공사 이사회에서도 코로나19 대응 긴급지원안을 의결하는 과정에서 참석자들이 자본 확충계획을 마련해 재무 건전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해양진흥공사는 기획재정부에 관련 예산 확대나 추가 출자 등을 요청해 납입자본금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납입자본금이 늘어나면 공사채 발행을 통한 현금 조달에도 도움이 된다. 해양진흥공사는 현행법상 납입자본금의 400%까지 공사채를 발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양진흥공사 관계자는 “납입자본금을 늘려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기재부에 항만공사 지분의 출자 등을 요청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선주협회 등의 해운업계 관련 단체들도 해양진흥공사의 자본금을 늘려야 한다는 데 목소리를 함께 내고 있다.

정태순 한국선주협회 회장(장금상선 회장)은 5월21일 문재인 대통령의 주재로 열린 산업계 간담회에서 해양진흥공사의 자본금 확충을 요청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해운업계의 유동성 위기를 제때 막으려면 유동성 공급과 보증 역할의 확대가 필요하다”며 “이를 담당하는 해양진흥공사의 자본금 확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