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제 MBC 사장이 MBC를 방송법상 ‘공영방송’으로 명문화해 수신료 등 공적 재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를 두고 최근 3년 연속 적자를 낸 상황에서 코로나19라는 악재까지 겹치자 수신료를 받아서라도 실적 악화을 벗어나려는 것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수신료를 지원받으면 더 강한 규제에 묶일 수 있어 과연 감당할 수 있느냐는 시선도 있다. 
 
수신료 받기 원하는 MBC, 규제에 더 묶여도 적자탈출이 더욱 절실

▲ 박성제 MBC 사장.


7일 방송업계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코로나19로 광고시장이 얼어붙으면서 MBC는 수신료나 별도 사업 없이 수익 대부분을 광고를 통해 얻고 있어 올해도 실적 개선이 쉽지 않아 보인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가 발표한 ‘광고경기전망지수’에 따르면 국내 491개 광고주들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올해 들어 3월까지는 전달과 비교한 광고지출 규모를 줄였다. 4월과 5월에는 전달보다 광고지출이 소폭 늘기는 했지만 일부 업종에 국한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MBC는 2017년 영업손실 564억, 2018년 영업손실 1236억, 2019년 영업손실 965억 원을 내는 등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 하고 있다.

MBC는 적자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코로나19라는 악재까지 겹치자 KBS처럼 수신료를 받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박성제 MBC 사장은 5월7일 한국방송협회가 주최한 토론행사에서 "MBC도 공영방송의 성격이 있는 만큼 KBS와 EBS처럼 수신료 등 공적재원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박 사장은 “MBC 역시 공직선거법, 정당법 등에선 공영방송으로 분류되지만 공적재원 관련 정책에서는 민영방송의 범주에 포함돼 수신료 등 공적재원 지원을 전혀 받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수신료는 KBS가 라디오 및 TV 운영비 등으로 이용하고 있다. 또 해마다 수신료의 3%는 한국교육방송공사(EBS)의 재원으로 쓰인다. 

MBC는 대부분의 수익을 광고를 통해 얻고 있지만 KBS와 같이 한국방송광고공사를 통해 지역방송사들과 함께 광고를 판매해야 하는 ‘광고 결합판매제도’의 제한을 받고 있다. 

반면 같은 민영 지상파방송인 SBS는 자체 미디어렙을 통해 광고를 판매하고 있어 MBC보다 광고 판매여건이 훨씬 자유롭다. 또 민간기업이 대주주인 SBS는 각종 부대사업을 활발하게 펼치며 수익구조를 다각화하고 있다.

MBC는 방송법상 민영방송이지만 소유구조를 살피면 공영방송 성격이 강한 점도 수신료 지원을 받아야 한다는 주장의 근거로 내세운다.

MBC 지분 70%는 비영리 공익법인인 방송문화진흥회가 들고 있다. 나머지 30%의 지분은 민간재단 정수장학회가 보유하고 있다. 

방송문화진흥회는 9명의 이사와 1명의 감사로 구성되며 이들은 방송통신위원회가 임명한다. 

MBC가 수신료를 받게 된다면 방송콘텐츠의 공적 성격을 강화해야 할 뿐만 아니라 국정감사에도 참석해야 하는 등 지금까지와는 다르게 각종 규제에 묶이게 된다.

그런데도 MBC에서 수신료를 받아야 한다는 말이 나오는 것은 그만큼 적자에서 벗어나는 일이 더욱 절실하다는 시선도 있다.

방송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상파방송사들이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지만 규제에 발이 묶여 있어 광고수익을 더 올리기도 어렵다”며 “수신료를 KBS만 거의 독점하는 구조는 말이 되지 않으며 수신료를 다른 지상파 방송국과 나눠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MBC가 최근 들어 진보성향을 보여 온 만큼 여당이 다수를 차지한 21대 국회에서 수신료 개편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이를 주장하는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MBC가 수신료를 받기 위해서는 수신료 인상이 불가피한데 이를 위해서는 방송법 개정 등 추진해야할 일이 많기에 국회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MBC가 그동안 집권여당에 우호적 태도를 보인 만큼 MBC의 재정적 어려움을 헤아려 수신료 개편안에 힘을 실어줄 수 있다는 것이다. 

20대 국회에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를 맡은 김성수 전 의원은 지난해 MBC를 ‘공영방송’으로 명시한 방송법 개정안을 발의했지만 야당의 반대로 통과되지 못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