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에너지가 매각설까지 돌았던 연료전지사업을 정상궤도에 올려놓을 기회를 잡고 있다.

저가 수주에 기술 결함까지 더해져 만성적자의 원인이 됐던 장기서비스계약(LTSA)의 단가를 정상화해 적자폭을 줄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에너지, 만성적자 연료전지사업을 정상궤도에 올릴 기회잡아

▲ 박기홍 포스코에너지 대표이사 사장.


5일 포스코에너지에 따르면 연료전지를 공급한 발전사들과 장기서비스계약을 갱신하는데 힘을 쏟고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8월27일 경기그린에너지와 발전설비 1기를 1년 동안 유지·보수하는 데 15억 원씩을 지급한다는 내용으로 장기서비스계약을 연장하는데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발전사마다 다르지만 기존 계약은 1기당 8억 원 수준인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경기그린에너지가 모두 58.8MW의 발전설비 21기를 보유하고 있고 재계약기간이 5년 단위로 설정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최소 연간 315억 원, 5년 동안 1575억 원을 웃도는 규모의 계약을 눈앞에 둔 것이다.

경기그린에너지가 포스코에너지의 최대 연료전지 고객사인 만큼 이는 다른 고객사와 장기서비스 재계약을 맺을 때 기준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에너지는 모든 고객발전사와 원가를 반영한 수준의 단가로 재계약을 맺어 연료전지사업의 적자폭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무엇보다 포스코에너지는 골치를 썩였던 연료전지의 결함을 해결했다는 점에 큰 의미를 두고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2007년 미국 유얼셀에너지로부터 연료전지 원천기술을 이전받아 연료전지사업을 시작하며 연료전지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낮은 가격으로 연료전지를 공급하고 장기서비스계약을 맺었다. 

이를 바탕으로 2014년 포스코에너지의 국내 연료전지시장 점유율은 2014년 90%가량까지 높아졌다.

그러나 예상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했다. 포스코에너지가 발전고객사들에 설치한 연료전지의 스택에 결함이 생겨 이를 자주 교체하게 되면서 장기서비스 비용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스택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을 담당하는 연료전지의 핵심부품이다.

장기서비스를 맺으며 정한 1기당 연간 8억 원 수준의 계약금도 원가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 적자폭은 더욱 커졌다.

포스코에너지는 연료전지사업에 뛰어든 뒤부터 3300억 원의 영업손실을 포함해 누적 적자 6천억 원을 냈다. 여기에 생산시설을 짓기 위한 투자금 등을 더하면 누적적자는 1조 원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업계는 바라보고 있다. 진입비용을 감안해도 큰 규모다.

국내 연료전지시장 점유율도 2019년 2분기 48%까지 낮아지며 일각에서는 연료전지사업에서 철수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

포스코에너지는 매각설을 부인하며 꾸준히 스택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해왔다. 실제로 2016년 12월 서울 상암동에 설치한 노을그린에너지의 연료전지 발전설비는 지금까지 이상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장기서비스 계약가격을 정상화할 수 있었던 것도 스택의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한 데 힘입은 것으로 파악된다.

연료전지사업이 계약가격 정상화를 계기로 적자폭을 줄여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면 포스코에너지의 직영 연료전지발전사업에도 힘이 실릴 수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현재 일정부분의 발전량을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충당해야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를 이행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구매하거나 직접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발전에 나서고 있다.

국회입법조사처의 ‘수소연료전지발전사업 현황 및 관련 제도’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5월 기준으로 포스코에너지는 인천 연료전지발전소에 2.4MW 규모 수소연료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연로전지발전은 수소를 활용해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다는 장점과 아직 생산단가 높다는 단점을 함께 보유하고 있어 정부 지원이 없다면 주된 발전방법으로 삼기엔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정부는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통해 2025년까지 중소형 LNG(액화천연가스)발전과 대등한 수준으로 연료전지발전의 단가를 낮추고 중장기적으로 지금보다 설치비는 65%, 발전단가는 50%를 내리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발전 및 설치단가가 낮아진다면 그만큼 수소 연료전지발전 수요도 늘어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 제조 및 판매사업과 연료전지발전사업 모두 성장세에 들어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장기서비스 재계약의 시점과 규모는 발전사마다 다르지만 경기그린에너지와 합의한 내용이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다”며 “원가를 반영한 계약금을 통해 연료전지사업의 적자폭을 줄이고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