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로젠이 정부의 바이오헬스 육성계획으로 유전체 검사사업에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2029년까지 100만 명 규모의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바이오 분야 규제를 완하하기로 하며 유전체 분야에 힘을 싣고 있다.
 
정부의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에 마크로젠 수혜 기대 부풀어

▲ 서정선 마크로젠 회장.


22일 정부와 증권업계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며 유전체 검사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경쟁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는 마크로젠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분석된다.

유전체는 생명체가 지닌 유전적 정보의 총합으로 ‘게놈’으로도 불린다. 유전체 정보가 축적되면 질병 가능성을 미리 판단할 수 있는 단계까지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희망자를 대상으로 유전체 정보를 수집해 환자 맞춤형 신약, 신의료기술 연구개발에 활용할 것”이라며 “2021년까지 2만 명 규모의 바이오 빅데이터 수집부터 시작해 2029년까지 100만 명 규모의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완료를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바이오헬스산업의 규제시스템을 국제기준과 맞춰 과감히 개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미화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유전체의 정보가 쌓이면 분석과 해석의 정확도가 높아진다”며 “분석의 신뢰도가 높아지면 시장 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마크로젠은 바이오 빅데이터 육성정책에 따라 가장 수혜를 많이 볼 기업으로 꼽힌다. 이 회사는 세계 5위의 유전체 분석능력과 장비를 지니고 있으며 국내 유전체 분석시장 점유율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소비자 직접 의뢰(DTC) 유전체 검사와 관련한 규제 샌드박스(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에 일정 기간 기존 규제를 면제·유예시켜주는 제도)를 적용받고 있어 유전체 검사기업 가운데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 있다.

마크로젠은 규제 샌드박스 적용으로 인천 송도의 2천 명을 대상으로 2년 동안 시범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은 서정선 마르로젠 회장이 줄기차게 강조했던 부분이기도 하다. 서 회장은 “해외 선진국들은 바이오 빅데이터를 수집해 바이오뱅크를 만들어 실생활에 적용하는 반면 한국은 개인정보 보호에 막혀 정보 수집도 못하고 있다”며 정부에 바이오 빅데이터 육성을 요청해왔다.

이달미 SK증권 연구원은 “유전자 검사 수탁에 관한 규제 완화까지 기대되는 상황”이라며 “국내 유전자 분석의 규제완화가 이어지면 마크로젠의 기업가치가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마크로젠 외에도 EDGC, 바이오니아, 디엔에이링크, 테라젠이텍스 등 유전체 검사기업들도 수혜기업으로 꼽힌다. 바이오 빅데이터를 활용한 표적 치료제 개발도 활기를 띨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정부의 바이오헬스 육성정책에도 불구하고 규제를 뚫기가 만만치 않다는 시각도 있다.

국내법은 연구목적 이외로 환자의 개인정보를 비의료기관에 전달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현행법상 환자가 검사를 요청해도 대학병원 등에서 마크로젠 등 유전체 검사기업에 이를 맡길 수 없는 것이다.

일부 정치권과 시민단체에서는 의료정보를 활용한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과 활용에 비판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윤소하 정의당 의원은 “정부는 의료 영리화로 이어질 수 있는 의료정보 활용 시범사업 시행을 즉각 중단하고 전문가와 환자단체, 시민사회단체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윤 의원은 “의료정보를 민간에 제공하겠다는 것은 공공재 성격의 의료서비스를 영리화하겠다는 목적”이라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