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한국을 수출규제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에서 제외했지만 국내 자동차산업이 받게 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장문수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6일 “자율준수프로그램(CP) 기업을 활용하면 자동차산업에 미치게 될 영향이 미미해질 것”이라며 “일본의 수출 규제가 오히려 국내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미칠 요인에 주목해야 한다”고 내다봤다.
 
일본의 수출규제에 한국 자동차산업이 받을 영향은 미미

▲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자율준수프로그램 기업이란 전략물자를 관리하는 데 자율적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일본 정부가 스스로 인정한 기업들을 말한다. 이 기업들은 화이트리스트에 올라있지 않은 국가에 전략물자를 수출해도 ‘특별일반포괄허가’를 자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특별일반포괄허가'는 일본 정부의 자율준수프로그램 인증을 받아 개별허가를 면제받을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3년 단위의 포괄허가를 내주기 때문에 규제에 영향을 덜 받게 된다.

국내 기업이 일본의 자율준수프로그램 인증 기업과 거래를 맺는다면 일부 핵심 품목의 수급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자동차산업 자체적으로도 일본산 부품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오래 전부터 추진해왔기 때문에 수출규제에 따른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장 연구원은 “국내 자동차산업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사태 이후 일본 의존도를 낮추려는 노력을 벌여 기술 내재화 확대로 국산화율을 높인 상황”이라며 “3개월 이상의 안전재고를 확보하고 있으며 상당부분의 부품은 미국과 유럽, 중국산으로 대체 가능해 단기적 생산 차질은 제한적”이라고 전망했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콘퍼런스콜을 통해 “반도체 등 일본산 공급차질 이슈는 없다”고 공식적으로 밝히기도 했다.

일본 의존도가 높은 친환경차 부품 분야도 타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장 연구원은 “2차전지 소재나 수소연료전기차용 소재(탄소섬유) 등 일부 소재의 일본 의존도는 높지만 대체재에 대한 국산화 연구가 상당 부분 완료됐다”며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도 (국내) 생산능력 증설로 대응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