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 강경노선 고수, 정치투쟁 논란은 부담

▲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이 9일 서울 광화문에서 소상공인119민원센터를 개소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소상공인연합회>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장이 정부를 향한 투쟁을 이어가기로 했다. 정부가 소상공인대책을 내놓았지만 근본적 처방으로서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최 회장이 소상공인의 목소리를 온전히 관철하려면 극복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그의 행보를 정치적으로 해석하는 시각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보폭이 커지면 커질수록 이런 시각은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소상공인연합회는 29일 서울 광화문에서 최저임금제도 개선을 촉구하는 총궐기대회를 연다고 23일 밝혔다.

정부여당이 22일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 대책을 내놓았으나 연합회는 정부의 대책이 미흡하다고 보고 예정대로 총궐기대회를 열기로 했다.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장은 정부 대책을 놓고 “뜨거운 냄비 속 개구리에게 물 몇 방울 과자 부스러기 던져준 꼴”이라며 “최저임금 문제는 최저임금으로 풀어야 하며 다른 돈으로 지원해서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9일부터 광화문에 설치해 운영하고 있는 119민원센터도 유지해 나가기로 방침을 정했다. 정부를 향한 강경한 자세도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경기 둔화와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소상공인과 영세 자영업자들의 불만은 갈수록 커져왔다. 최 회장은 이들을 대변해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부와 정치권 역시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눈치를 많이 보는 모습을 보인다.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 등 야당 의원들은 광화문 천막센터를 잇따라 방문해 최 회장을 만났다.

청와대도 새로 임명한 인태연 자영업비서관을 21일 천막센터에 보냈고 다음날 7조 원 규모의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에는 소상공인업계가 요구해 왔던 최저임금위원 추천권도 포함했다.

하지만 소상공인연합회를 설득하기는 역부족이었다. 특히 최저임금위원 추천권을 부여하는 방안에서 법정 경제단체인 소상공인연합회를 명확히 명시하지 않았기에 의도적으로 소상공인연합회를 배제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다만 최 회장의 대정부 강경 투쟁노선을 정치적으로 해석하는 의견도 일부 있다. 최 회장의 보수적 성향 때문이다.

최 회장은 1990년대부터 PC방을 운영해온 소상공인 출신이다. 한국인터넷콘텐츠서비스협동조합 이사장으로 활동하다가 박근혜 정부 시절 소상공인 법정단체인 소상공인연합회가 구성될 때부터 창립준비위원회 회장으로 참여해 지금까지 회장을 맡고 있다. 

최 회장은 보수 성향 단체로 분류되는 한국자영업자총연대와 국회개혁범국민연합으로도 활동했고 2016년 사드 배치를 지지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으로 유력하게 거론됐다.

소상공인연합회의 정치 성향을 놓고 내홍도 불거졌다. 이제학 소상공인연합회 상근부회장은 연합회가 변질됐다며 임기 1년도 안 돼 돌연 사퇴를 선언했다. 거침없이 정부를 향한 목소리를 내던 최 회장의 행보가 다소 위축될 수 있는 부분이다.

이 부회장은 22일 “연합회는 엄연히 정부 보조금을 받는 법정단체인데 반정부 투쟁에 앞장서는 것은 앞뒤가 안맞는 처사”라며 “국가의 녹을 먹는 상근부회장으로서 도리가 아닌 것 같아 자리를 내려놓는다”고 말했다.

그는 29일 궐기대회를 놓고 “소상공인의 어려운 처지를 알리고 대책을 촉구하는 순수한 집회가 점차 정치투쟁의 장으로 변질돼가고 있다”며 “소상공인연합회가 명실공히 좌우양날개로 비상하는 경제6단체로서 거듭나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